송강호 포옹한 박찬욱 "다른 영화로 온 덕분에 같이 상 받았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칸 국제 영화제에서 감독상을 받은 박찬욱 감독은 28일(현지시각) 프랑스 칸에서 한국 취재진과 만나 "송강호씨와 제가 같은 영화로 왔다면 함께 상을 받기 어려웠을 것"이라며 "따로 온 덕분에 둘이 같이 상을 받게 된 것 같다"고 말했다.
칸 국제 영화제에서 나란히 트로피를 손에 쥔 박찬욱 감독과 배우 송강호는 이날 함께 취재진 앞에 섰다.
배우 송강호는 한국 배우 처음으로 칸 국제 영화제에서 남우주연상을 받았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칸 국제 영화제에서 감독상을 받은 박찬욱 감독은 28일(현지시각) 프랑스 칸에서 한국 취재진과 만나 “송강호씨와 제가 같은 영화로 왔다면 함께 상을 받기 어려웠을 것”이라며 “따로 온 덕분에 둘이 같이 상을 받게 된 것 같다”고 말했다.
칸 국제 영화제에서 나란히 트로피를 손에 쥔 박찬욱 감독과 배우 송강호는 이날 함께 취재진 앞에 섰다. 배우 송강호는 한국 배우 처음으로 칸 국제 영화제에서 남우주연상을 받았다.
송강호는 “저는 박 감독님과 오랫동안 작업했던 배우고, ‘박쥐’로는 심사위원상도 받으셨기 때문에 남다른 감정”이라며 “수상자로 제 이름이 호명되고 일어나자 감독님이 뛰어와 포옹할 때 너무나 감동적이어서 잊을 수 없을 것 같다”고 했다.
송강호의 이야기를 듣던 박 감독은 “저도 모르게 복도를 건너서 뛰어가게 되더라”며 “그동안 좋은 영화에 많이 출연했는데, 기다리다 보니까 (남우주연상을 받을) 때가 온 것”이라고 했다.
송강호는 “상을 받기 위해서 연기를 할 수도 없고, 그렇게 하는 배우도 없다”며 “좋은 작품에 끊임없이 도전하다 보니 최고의 영화제에 초청받고 수상하는 과정이 있을 뿐 절대적인 가치라고는 생각하지 않는다”고 했다.
그러면서 “강동원, 배두나, 이지은, 이주영 등 보석 같은 배우들과의 앙상블에서 제가 대표로 상을 받은 것”이라며 “앞으로도 배우로서 어떤 자세와 태도를 가져야 하는지 늘 고민하고 노력하겠다”고 다짐했다.
두 사람은 한국 영화가 주목받는 이유에 대해서도 각자의 생각을 이야기했다. 박 감독은 “한국 관객들이 웬만한 영화에는 만족하지 못한다. 장르 영화 안에도 웃음, 공포, 감동이 다 있기를 바란다”며 “우리가 많이 시달리다 보니 한국 영화가 이렇게 발전한 것 같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제 영화에는 중국인 배우가 나오고, ‘브로커’는 일본 감독이 각본을 쓰고 연출했다. 아시아의 인적 자원과 자본이 교류하는 건 의미 있는 일”이라며 “60∼70년대 유럽에서 힘을 합쳐 좋은 영화를 만드는 것을 봤는데, 한국이 중심이 돼서 이런 식의 교류가 활성화되기를 바란다”고 강조했다.
송강호는 “외신 기자들을 만나면 가장 많이 듣는 말이 ‘한국 영화가 왜 이렇게 역동적이라고 생각하느냐’라는 질문”이라며 “끊임없이 도전하고 변화하려는 노력이 문화 콘텐츠에 영향을 끼친 것으로 생각한다”고 밝혔다.
영화 ‘박쥐’와 ‘공동경비구역 JSA’, ‘복수는 나의 것’을 함께 작업한 두 사람은 차기작에 대한 이야기도 나눴다. 박 감독은 송강호와 함께 작업할 계획이 없냐는 질문에 “거절만 하지 말아 달라. 시간만 있으면 된다”며 웃었고, 송강호도 “우리 ‘박쥐’ 한 지 너무 오래됐다. 13년이다”라고 맞장구쳤다.
- Copyright ⓒ 조선비즈 & Chosun.com -
- Copyrights ⓒ 조선비즈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삼성·SK가 점찍은 미래 먹거리… 세계 대기업도 러브콜
- 각국 중앙은행의 ‘금 사재기’에도 한국은행 금 보유 10년째 그대로인 이유는
- 20년 걸친 승계구도… 장남 아닌 '차남'이 승기 잡았다
- 10대 로펌 작년 실적 살펴보니… ‘광장·율촌’ 웃고, ‘대륙아주’ 급성장
- [팝업의 시대]④ ‘팝업 광풍’의 이면...상가임대차법 피하기 ‘꼼수’
- [젊은 두뇌가 뛴다]⑥“車부품처럼 고장난 유전자 통으로 바꾸는 시대 곧 와요”
- 재건축은 '미소', 리모델링은 '한숨'… 희비 엇갈린 이유
- '백신+확진' 면역력 얼마나 갈까… 연구 결과 살펴보니
- 삼성·하이닉스, '반도체 혹한기' 탈출할 비법 찾았다
- [점프업 스타트업]⑨ 이승민 블루레오 대표 “장애인 95% 구강질환 고통… 진동흡입칫솔로 양치 환경 개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