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의역 김군' 6주기..오세훈 "안전인력 확충" 송영길 "노조 해고자 복직"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서울지하철2호선 구의역 스크린도어를 고치다 사망한 '구의역 김군' 사건이 28일 6주기를 맞았다.
현 서울시장인 오세훈 국민의힘 서울시장 후보는 "지난 1년간 안전 관련 조직과 인력을 확충했다"고 밝혔다.
또 송 후보는 "인천시장 때도 제일 먼저 했던 일이 지하철 노조 해고자 복직과 비정규직을 정규직화시킨 것이었다"며 서울시장에 당선되면 같은 일을 하겠다고 밝혔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송영길 참석.."박원순 시장 때 했던 걸 거꾸로 돌려"
오세훈, 민주노총 행사 전 먼저 찾아 김군 추모
"시민과 안전업무 종사자 절대 위험 방치 않을 것"
서울지하철2호선 구의역 스크린도어를 고치다 사망한 ‘구의역 김군’ 사건이 28일 6주기를 맞았다. 현 서울시장인 오세훈 국민의힘 서울시장 후보는 “지난 1년간 안전 관련 조직과 인력을 확충했다”고 밝혔다. 송영길 더불어민주당 후보는 “지하철 노조 해고자를 복직시키고, 비정규직을 정규직화하겠다”고 했다.
오 후보는 이날 오전 구의역 승강장 안에 있는 ‘추모의 벽’을 찾아 김군의 명복을 빌었다. 오 후보는 현장에 있는 스크린도어(추모의 벽)에 ‘안타까운 희생 잊지 않겠습니다. 재해 없는 안전도시 서울 만들겠습니다. 오세훈’이라고 적은 포스트잇을 붙였다.
이후 올린 페이스북 글에서 그는 “안전은 누구도 100% 장담할 수 없지만, 시민과 안전업무 종사자들을 절대로 위험에 방치하지 않을 것을 약속드린다”고 했다. 그러면서 “시민 안전의 최종책임은 시장에게 있고, 시장이 가장 우선시해야 할 책임이기도 하다”고 했다.
오 후보는 “지난 1년간 서울시는 시민의 안전과 생명을 최우선 가치로 두고 재해 없는 ‘안전도시 서울’을 만들고자 부단히 노력해왔다”며 “관련 조직과 인력을 확충하고, 서울의 안전 및 위기 대응 매뉴얼은 잘 이행되고 있는지, 부족한 부분은 없는지 끊임없이 점검하고 업그레이드 했다”고 밝혔다. 이어 “더 꼼꼼하게 챙기겠다. 가슴 아픈 추도사를 해야 하는 일이 다시는 없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썼다.
송 후보는 이날 오전 민주노총 산하 전국공공운수사회서비스노조가 구의역 승강장에서 개최한 추모식에 참석했다. 송 후보는 “김군의 가방에 있는 컵라면의 모습이 지금도 떠올려진다”고 했다. 그러면서 “서울시가 지하철공사(서울교통공사) 차량검사 등 위험한 업무를 외주화시켜 나가고 있다”며 “(전임) 박원순 시장 때 정규직화했던 것을 거꾸로 돌리는 모습이 보이고 있다”고 했다.
또 송 후보는 “인천시장 때도 제일 먼저 했던 일이 지하철 노조 해고자 복직과 비정규직을 정규직화시킨 것이었다”며 서울시장에 당선되면 같은 일을 하겠다고 밝혔다.
김군은 고(故) 박원순 전 서울시장 재임 때인 2016년 5월 28일 구의역 스크린도어 뒤편에서 혼자 수리를 하다가 열차와 스크린도어 사이에 끼어 변을 당했다. 김군은 용역업체 은성PSD 소속이었다. ‘2인 1조’가 원칙이었으나, 현장 상황실장이었던 신모씨는 서울시청 맞은편에서 열린 노조 집회에 참석하기 위해서 무단으로 자리를 떴다. 은성PSD는 서울메트로(현 서울교통공사) 퇴직자들이 만든 회사였고, 노조는 민주노총 소속이었다.
송 후보는 서울 강남구 구룡마을을 개발하면서 이른바 ‘서울코인’을 발행하고, 부동산 개발 이익을 투자한 시민들에게 이 코인을 통해 배분하겠다는 공약을 발표했다. 개발이익의 절반은 서울시와 서울교통공사 등이 갖겠다는 구상이다. 송 후보는 “서울교통공사의 적자를 부동산 개발이익으로 개선하고, 위험의 외주화를 하지 않을 수 있는 재정적 기반을 마련할 계획이 있다”는 주장을 했다.
추모식을 주최한 공공운수노조는 “윤석열 대통령과 오늘 구의역에서 만나고자 했지만 끝내 나오지 않았다”며 “우리가 용산 대통령 집무실로 가겠다”고 말하기도 했다.
- Copyright ⓒ 조선비즈 & Chosun.com -
- Copyrights ⓒ 조선비즈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인터뷰] “전기차 혁명의 주역은 테슬라 아닌 K배터리”…‘밧데리 아저씨’의 이유있는 역설
- 통신칩도 대만 승리?… '조용한 경영' 삼성, 추월 당했다
- ‘기무치 다음은 맛코리?’ 원조 한국산 자리 밀어내는 일본산 막걸리
- 野 양곡법의 역설… 쌀에 3.5조 붓고도 농가는 더 굶는다
- 中·日도 ‘mRNA’ 기술 확보했다...‘패권 다툼’ 시작했는데 한국은 ‘걸음마’
- 드디어 반등장?… 서울 아파트 거래량, 1년 반만에 '최고'
- ‘9년째 공터’ 용산 금싸라기땅… 부영, 착공 안하는 이유
- 코스닥 시총 50위 밖→10위로 쑥… 주가 급등한 로봇회사
- "맥심 화보 찍었으니 양육권 내놔라"…소송 당한 교수
- 노소영, 최태원 동거인에게 위자료 30억원 청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