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에서 찍은 듯"..버추얼스튜디오 경쟁

선한결 2022. 5. 27. 17:19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아시아 최대 규모의 버추얼스튜디오가 경기 파주에 들어선다.

26일 정보기술(IT)업계에 따르면 메타버스 기업 브이에이코퍼레이션(VAC)은 파주에 버추얼스튜디오 네 동을 비롯한 대규모 콘텐츠 스튜디오 단지를 조성한다.

VAC 관계자는 "버추얼스튜디오 중 하나는 연면적이 최대 2000㎡에 달할 것"이라며 "한곳에서 콘텐츠 제작 전 과정을 아우를 수 있는 종합 단지를 만들 계획"이라고 밝혔다.

LG전자는 VAC의 새 대규모 버추얼스튜디오에 LED 사이니지를 공급할 예정이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메타버스·OTT 타고 조성 붐
VAC, 파주에 亞 최대 규모
CJ ENM·SKT도 줄줄이 개관
'그린 스크린'보다 비용 적고 빨라
올해 실감형 콘텐츠 시장 11兆
삼성·LG "대형 LED 새 먹거리"
LG전자 LED 사이니지의 가상 배경을 통해 달 착륙 상황이 재현되고 있다. /LG전자 제공


아시아 최대 규모의 버추얼스튜디오가 경기 파주에 들어선다. 커다란 고화질 LED 스크린을 배경으로 각종 콘텐츠를 촬영하는 제작 공간이다. 버추얼스튜디오는 최근 메타버스·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 시장 급성장세를 타고 빠르게 늘어나고 있다. 이런 추세를 따라 삼성전자·LG전자도 대형 LED 사이니지(상업용 디스플레이)를 신규 먹거리 사업으로 키우는 모양새다.

 VAC, 파주에 콘텐츠 스튜디오 구축

26일 정보기술(IT)업계에 따르면 메타버스 기업 브이에이코퍼레이션(VAC)은 파주에 버추얼스튜디오 네 동을 비롯한 대규모 콘텐츠 스튜디오 단지를 조성한다. 내년에 문을 여는 게 목표다. VAC 관계자는 “버추얼스튜디오 중 하나는 연면적이 최대 2000㎡에 달할 것”이라며 “한곳에서 콘텐츠 제작 전 과정을 아우를 수 있는 종합 단지를 만들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는 VAC가 작년에 이어 내놓는 대규모 콘텐츠 제작 공간이 된다. VAC는 작년 경기 하남에도 총 1만1265㎡ 규모의 스튜디오 단지를 조성했다. 이 단지 내 ‘스튜디오C’는 연면적이 1088㎡(약 330평)다. 스튜디오C를 두른 LED 메인 디스플레이는 가로가 53.5m, 높이는 8m에 달한다.

 불붙은 버추얼스튜디오 확보전

버추얼스튜디오는 배우가 녹색 천 앞에서 연기한 뒤 컴퓨터그래픽(CG) 배경을 합성하는 ‘그린 스크린’ 제작 방식의 대안으로 꼽힌다. 기존 방식보다 더 빠르고 저렴하게 고품질 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게 특징이다. 해외 유명 문화유적 등 멀거나 섭외가 어려운 공간에 직접 가지 않고 그래픽을 배경으로 쓸 수 있다. 촬영 결과를 실시간으로 보면서 즉석에서 그래픽을 수정해 완성도를 높일 수도 있다. 메타버스, 확장현실(XR) 공연 등 신기술 기반 실감형 콘텐츠를 구현하기도 좋다.

문화체육관광부에 따르면 올해 국내 실감형 콘텐츠 시장 규모는 11조7000억원에 달할 전망이다. 2020년(2조8000억원)에 비하면 약 다섯 배로 뛴 규모다. 시장이 커지면서 주요 기업들은 버추얼스튜디오를 앞다퉈 열고 있다. CJ ENM은 지난 24일 파주 스튜디오센터 단지에 연면적 1650㎡ 규모 버추얼스튜디오를 개관했다. SK텔레콤도 지난달 경기 성남시 판교에 총연면적 1500㎡ 규모의 ‘판교 XR스튜디오’를 열었다. 작년엔 특수시각효과(VFX) 기업 덱스터스튜디오, 자이언트스텝 등이 버추얼스튜디오를 새로 마련했다.

 삼성·LG엔 ‘사이니지’ 신시장

국내 전자 기업들의 움직임도 빨라지고 있다. 올 들어 콘텐츠 스튜디오에 사이니지를 공급하는 사례가 잇따르고 있다. LG전자는 VAC의 새 대규모 버추얼스튜디오에 LED 사이니지를 공급할 예정이다. 기성 제품이 아니라 실감형 콘텐츠 제작에 특화한 새 모델을 적용한다. LG전자 관계자는 “VAC와 함께 콘텐츠 촬영에 가장 적합하도록 설계한 스튜디오 전용 사이니지를 개발하고 있다”고 말했다. 앞서 문을 연 CJ ENM의 버추얼스튜디오엔 삼성전자가 LED 사이니지 ‘더 월’을 공급했다. 더 월을 콘텐츠 스튜디오용으로 쓴 첫 사례다. 메인 디스플레이 크기가 지름 20m, 높이 7m, 대각선 길이는 22m에 달한다.

각 기업은 국내 사례를 발판으로 레퍼런스(평판)를 쌓아 세계 시장도 두드릴 계획이다. 중국 기업들이 낮은 단가를 앞세워 먼저 깃발을 꽂은 미국·유럽·중동 등 시장도 공략한다. LG전자 관계자는 “해외 방송사, OTT 플랫폼 등에 버추얼프로덕션 솔루션을 제공하는 사업을 VAC와 공동으로 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선한결 기자 always@hankyung.com

경제지 네이버 구독 첫 400만, 한국경제 받아보세요
한국경제신문과 WSJ, 모바일한경으로 보세요

Copyright © 한국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