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줌인] 한숨만 쉬다 끝난 다보스 포럼 "우크라戰·식량난 어찌할까"

이용성 기자 2022. 5. 27. 11:21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26일(현지 시각) 폐막한 세계경제포럼(WEF·다보스포럼) 연차총회에서 눈앞에 다가온 코로나19 팬데믹(전염병의 세계적인 대유행) 이후 세상에 대한 기대감은 전세계가 마주한 또다른 위기에 대한 우려로 지워졌다.

세계 정·재계의 유력 인사가 총출동하는 다보스포럼은 2020년 1월 열린 뒤 코로나19 사태로 취소됐다가 2년 만에 대면으로 열렸다.

올해 다보스포럼의 최대 의제 가운데 하나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과 그에 따른 국제 정치, 경제적 영향이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26일(현지 시각) 폐막한 세계경제포럼(WEF·다보스포럼) 연차총회에서 눈앞에 다가온 코로나19 팬데믹(전염병의 세계적인 대유행) 이후 세상에 대한 기대감은 전세계가 마주한 또다른 위기에 대한 우려로 지워졌다.

23일(현지 시각) 다보스 포럼에서 화상 연설중인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

세계 정·재계의 유력 인사가 총출동하는 다보스포럼은 2020년 1월 열린 뒤 코로나19 사태로 취소됐다가 2년 만에 대면으로 열렸다. 하지만 우크라이나 전쟁과 세계적 인플레이션에 대한 부정적 전망에 논의가 집중됐다.

외신 보도를 종합하면 ’전환기의 역사: 정부 정책과 기업 전략’을 주제로 한 이번 행사엔 50여 명의 국가, 정부 수반을 비롯해 정치인, 기업인, 학자, 시민사회 인사 등 약 2500명이 참석했다. 올라프 숄츠 독일 총리와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 유럽연합(EU) 집행위원장, 옌스 스톨텐베르그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사무총장, 존 케리 미국 대통령 기후특사도 참석했고, 한국도 국민의힘 나경원 전 의원을 단장으로 하는 대통령 특사단을 파견했다.

올해 다보스포럼의 최대 의제 가운데 하나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과 그에 따른 국제 정치, 경제적 영향이었다.

23일 클라우스 슈바프 WEF 회장 환영 인사에 이어 나선 이번 포럼의 첫 연사는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이었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화상 연설에서 석유 금수를 포함해 러시아의 공격을 멈추기 위한 추가 제재가 필요하다고 촉구하면서 자국에 대한 무기 등 지원을 거듭 호소했다.

그는 “제재는 최대한이 돼야 한다”면서 “러시아와 이웃 국가를 상대로 잔혹한 전쟁을 벌이기를 원하는 다른 모든 잠재적인 침략국이 그들의 행동의 즉각적인 결과에 대해 분명히 알게 될 것”이라고 주장했고, 청중은 기립박수로 호응했다.

반면 우크라이나를 침공한 러시아는 이번 포럼에서 완전히 배제됐다. 과거 다보스포럼에서 러시아가 국가 홍보에 쓰던 건물은 이번 전쟁의 참상을 담은 사진 등을 전시하는 공간인 ‘러시아 전쟁 범죄 홍보관’이 됐다.

선진국과 빈곤국을 가리지 않고 맞닥뜨린 인플레이션도 이번 다보스포럼의 핵심 관심사였다. 행사에 모인 기업인과 각국 정부 관계자는 향후 세계 경제에 대한 암울한 전망을 잇달아 내놨다.

크리스탈리나 게오르기에바 국제통화기금(IMF) 총재는 세계적 경기침체까지 가려면 멀었다면서도 이는 그것이 불가능하다는 뜻은 아니라고 밝혔고,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 유럽연합(EU) 집행위원장은 “우리는 러시아가 자국의 에너지 물자를 어떻게 무기화하고 있는지를 목격하고 있다”며 “우리는 식량 안보에서도 같은 패턴이 나타나고 있는 것을 보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 같은 악재가 겹치다 보니 기후변화 대응을 위해 국제사회의 탄소 배출 감축 약속이 시험대에 올랐다는 진단도 나왔다. 석유와 가스 가격 급등 속에 이미 일부 국가는 에너지 수요를 맞추기 위해 석탄 등 다른 화석 연료에 의지하기 시작했기 때문이다.

이와 관련해 존 케리 미국 기후특사는 24일 기자회견에서 우크라이나 위기를 화석 연료 기반시설을 추가로 건설하는 구실로 삼아서는 안 된다고 경고하기도 했다.

- Copyright ⓒ 조선비즈 & Chosun.com -

Copyright © 조선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