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리그] 마지막 지키지 못한 성균관대, PO 마지노선인 8위 무너졌다
손동환 입력 2022. 5. 27. 09:0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마지막을 지키지 못한 대가는 참담했다.
성균관대학교(이하 성균관대)는 지난 26일 한양대학교 올림픽체육관에서 열린 2022 KUSF 대학농구 U-리그에서 한양대학교(이하 한양대)에 96-98로 졌다.
2쿼터 들어 한양대의 3-2 지역방어와 마주했다.
한양대의 달라진 수비 형태도 경계해야 했지만, 공격 실패 후 한양대의 빠른 속공도 신경 써야 했다.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마지막을 지키지 못한 대가는 참담했다.
성균관대학교(이하 성균관대)는 지난 26일 한양대학교 올림픽체육관에서 열린 2022 KUSF 대학농구 U-리그에서 한양대학교(이하 한양대)에 96-98로 졌다. 5승 7패로 공동 8위에서 단독 9위로 밀려났다. 한양대(6승 6패)에 8위를 내줬다.
성균관대는 풀 코트 프레스를 많이 사용하는 팀이다. 김상준 감독이 해당 수비 전술을 많이 쓰기 때문이다.
공격 전환 속도가 빠른 한양대에도 풀 코트 프레스를 사용했다. 턴오버를 유도하지 못해도, 큰 효력을 발휘했다. 한양대의 스피드를 늦추는 것만 해도, 한양대의 강점을 최소화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한양대의 공격 속도를 늦춘 성균관대는 박종하(186cm, G)와 송동훈(175cm, G)의 득점을 앞세웠다. 두 선수만 14점. 공수 밸런스 좋았던 성균관대는 23-16으로 1쿼터를 마쳤다.
2쿼터 들어 한양대의 3-2 지역방어와 마주했다. 한양대의 달라진 수비 형태도 경계해야 했지만, 공격 실패 후 한양대의 빠른 속공도 신경 써야 했다. 3-2 지역방어가 속공을 용이하게 할 수 있기 때문.
성균관대도 이를 알고 있었다. 그래서 무리하게 공격하지 않았다. 완벽한 찬스에서만 공격했다. 그리고 빠르게 백 코트. 한양대의 빠른 공격을 차단하려고 했다.
송동훈과 민기남(174cm, G)이 볼을 잘 전개했다. 그리고 박종하가 미드-레인지와 3점 라인 밖에서 득점했다. 하지만 한양대의 달라진 공격 전환 속도에 애를 먹었다. 43-38으로 앞선 것에 만족했다.
송동훈이 3쿼터에 본격적으로 나섰다. 에이스이자 야전사령관으로서 팀 템포 전체를 컨트롤했다. 세트 오펜스에서든 속공에서든 경쟁력을 보여줬다. 성균관대가 3쿼터 한때 두 자리 점수 차로 앞선 것도 송동훈의 힘이 컸다.
그러나 성균관대는 한양대의 빠른 공격에 고전했다. 승기를 잡을만한 타이밍에서 속공으로 흐름을 내줬다. 한양대의 속공을 저지하다 파울 자유투도 내줬다.
성균관대는 65-62로 3쿼터를 마칠 뻔했다. 하지만 박종하가 마지막 공격을 성공했다. 루즈 볼을 따낸 후, 점퍼를 성공한 것. 3쿼터 종료 부저와 동시에 득점했기에, 박종하의 득점은 더 큰 의미가 있었다.
성균관대는 박종하의 버저비터로 활력을 찾았다. 수비에서 높은 에너지 레벨을 보여줬고, 공격 자신감 역시 커졌다. 한양대의 기세에 쉽게 밀리지 않았다.
그렇지만 3쿼터 후반처럼 쉽게 달아나지도 못했다. 염재성(179cm, G)에게 75-73으로 쫓기는 3점을 허용했다. 위기는 계속됐다. 4쿼터 종료 43초 전 84-86으로 역전당했다.
하지만 안세영(182cm, G)이 4쿼터 종료 30.9초 전 역전 3점포(87-86)를 터뜨렸다. 그리고 송동훈이 자유투 성공. 성균관대가 승기를 잡는 듯했다. 그러나 마지막 수비에서 표승빈(190cm, F)에게 동점 자유투 허용. 연장전으로 갔다. 점수는 88-88.
연장전 초반 흐름이 좋았다. 안세영이 3점슛으로 선제 득점을 했고, 박종하가 3점 시도 과정에서 파울 자유투를 얻었다. 성균관대는 94-88로 기선을 제압했다.
그러나 마지막을 지키지 못했다. 김선우(176cm, G)에게 동점 3점슛(96-96)을 맞았고, 표승빈에게 역전 속공 득점을 내줬다. 역전 속공 득점을 내준 후, 열세를 극복하지 못했다. 중요했던 8위 싸움을 지고 말았다.
사진 제공 = 한국대학농구연맹(KUBF)
성균관대학교(이하 성균관대)는 지난 26일 한양대학교 올림픽체육관에서 열린 2022 KUSF 대학농구 U-리그에서 한양대학교(이하 한양대)에 96-98로 졌다. 5승 7패로 공동 8위에서 단독 9위로 밀려났다. 한양대(6승 6패)에 8위를 내줬다.
성균관대는 풀 코트 프레스를 많이 사용하는 팀이다. 김상준 감독이 해당 수비 전술을 많이 쓰기 때문이다.
공격 전환 속도가 빠른 한양대에도 풀 코트 프레스를 사용했다. 턴오버를 유도하지 못해도, 큰 효력을 발휘했다. 한양대의 스피드를 늦추는 것만 해도, 한양대의 강점을 최소화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한양대의 공격 속도를 늦춘 성균관대는 박종하(186cm, G)와 송동훈(175cm, G)의 득점을 앞세웠다. 두 선수만 14점. 공수 밸런스 좋았던 성균관대는 23-16으로 1쿼터를 마쳤다.
2쿼터 들어 한양대의 3-2 지역방어와 마주했다. 한양대의 달라진 수비 형태도 경계해야 했지만, 공격 실패 후 한양대의 빠른 속공도 신경 써야 했다. 3-2 지역방어가 속공을 용이하게 할 수 있기 때문.
성균관대도 이를 알고 있었다. 그래서 무리하게 공격하지 않았다. 완벽한 찬스에서만 공격했다. 그리고 빠르게 백 코트. 한양대의 빠른 공격을 차단하려고 했다.
송동훈과 민기남(174cm, G)이 볼을 잘 전개했다. 그리고 박종하가 미드-레인지와 3점 라인 밖에서 득점했다. 하지만 한양대의 달라진 공격 전환 속도에 애를 먹었다. 43-38으로 앞선 것에 만족했다.
송동훈이 3쿼터에 본격적으로 나섰다. 에이스이자 야전사령관으로서 팀 템포 전체를 컨트롤했다. 세트 오펜스에서든 속공에서든 경쟁력을 보여줬다. 성균관대가 3쿼터 한때 두 자리 점수 차로 앞선 것도 송동훈의 힘이 컸다.
그러나 성균관대는 한양대의 빠른 공격에 고전했다. 승기를 잡을만한 타이밍에서 속공으로 흐름을 내줬다. 한양대의 속공을 저지하다 파울 자유투도 내줬다.
성균관대는 65-62로 3쿼터를 마칠 뻔했다. 하지만 박종하가 마지막 공격을 성공했다. 루즈 볼을 따낸 후, 점퍼를 성공한 것. 3쿼터 종료 부저와 동시에 득점했기에, 박종하의 득점은 더 큰 의미가 있었다.
성균관대는 박종하의 버저비터로 활력을 찾았다. 수비에서 높은 에너지 레벨을 보여줬고, 공격 자신감 역시 커졌다. 한양대의 기세에 쉽게 밀리지 않았다.
그렇지만 3쿼터 후반처럼 쉽게 달아나지도 못했다. 염재성(179cm, G)에게 75-73으로 쫓기는 3점을 허용했다. 위기는 계속됐다. 4쿼터 종료 43초 전 84-86으로 역전당했다.
하지만 안세영(182cm, G)이 4쿼터 종료 30.9초 전 역전 3점포(87-86)를 터뜨렸다. 그리고 송동훈이 자유투 성공. 성균관대가 승기를 잡는 듯했다. 그러나 마지막 수비에서 표승빈(190cm, F)에게 동점 자유투 허용. 연장전으로 갔다. 점수는 88-88.
연장전 초반 흐름이 좋았다. 안세영이 3점슛으로 선제 득점을 했고, 박종하가 3점 시도 과정에서 파울 자유투를 얻었다. 성균관대는 94-88로 기선을 제압했다.
그러나 마지막을 지키지 못했다. 김선우(176cm, G)에게 동점 3점슛(96-96)을 맞았고, 표승빈에게 역전 속공 득점을 내줬다. 역전 속공 득점을 내준 후, 열세를 극복하지 못했다. 중요했던 8위 싸움을 지고 말았다.
사진 제공 = 한국대학농구연맹(KUBF)
사진 설명 = 슈팅을 시도하는 송동훈(성균관대)
Copyright© 바스켓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바스켓코리아에서 직접 확인하세요. 해당 언론사로 이동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