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만, 반도체 '기술 도둑질' 혐의 中 기업 조사착수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대만 당국이 반도체 인력 탈취 혐의를 받는 중국 기업들에 대한 조사에 착수했습니다.
26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대만 법무부 조사국은 세계 최대 파운드리 업체인 TSMC 주력 공장을 비롯해 첨단 반도체 시설이 모여있는 신주과학공업원구 등 대만 전역에 걸쳐 중국 기업 10곳의 연구센터를 압수수색했습니다.
이번 조치로 70여명의 기술자들이 소환됐고, 조사 중인 회사명은 밝혀지지 않았지만 직접회로 설계 업체와 전자부품 제조사가 포함됐다고 당국은 설명했습니다.
조사국은 "중국 기업의 첨단 인력 탈취가 국제 경쟁력에 악영향을 끼치고 국가 안보를 위험에 빠뜨렸다"며 중국의 이같은 불법 활동에 강도 높은 경계 태세를 유지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대만은 2020년 법무부 조사국 내에 태스크포스를 만들어 중국의 반도체 기술 탈취 활동에 대응해왔습니다. 반도체 설계와 공급망 등에 대한 중국의 투자를 금지하고 있고, 또 추가적인 규제로 중국 기업의 대만 진출을 억제하고 있습니다.
지난달에는 기술 탈취 혐의가 있는 중국 기업 100여 곳에 대한 조사에 착수하기도 했습니다.
대만이 이처럼 반도체 산업을 보호하기 위해 강경한 태도를 취하고 있는 배경에는 중국이 '반도체 굴기'를 앞세워 인재·기술 확보에 열을 올리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됩니다.
최근 삼성전자 자회사 '세메스'에서 2천억원 넘게 들여 개발한 반도체 장비 신기술도 중국에 유출됐다는 보도가 나오는 등 중국의 기술 도둑질에 각국 정부가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습니다.
네이버에서 SBS Biz 뉴스 구독하기!
저작권자 SBS미디어넷 & SBS I&M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SBS Medianet & SBS I&M 무단복제-재배포 금지
- 우크라이나로 시작해 우크라이나로 끝났다 [다보스포럼2022]
- “합리적 이유없이 ‘나이 많다’는 이유로 월급 깎아선 안돼” 대법 “임금피크제 무효”
- “전두환 자녀 상속포기…손자녀에게까지 역사 책임 묻진 않겠다”
- 이제 닭고기도 ‘식량무기’ 된다…국내 치킨값도 ‘불안’
- 주담대 7%·마통 6% ‘눈앞’…이자 2년 전보다 264만원↑
- ‘디지털 물가’도 오른다…구글의 버티기, 난감한 방통위
- 벌어서 이자도 못 낸다…기업 ‘돈맥경화’ 심화
- S&P ‘사상 최악적자’ 한전 신용등급 ‘bb+’로 하향 조정
- 머스크, 트위터 지분 인수 늑장 공시로 피소…“테슬라주 담보 대출 안 받는다” [장가희 기자의
- 휘발유·경유 모두 리터당 2천원 넘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