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어유, 마이홈 서비스 출시로 실적 점프 기대-상상인

김응태 2022. 5. 27. 08:05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상상인증권은 27일 디어유(376300)에 대해 올 1분기에 선보이기로 했던 '마이홈(My Home)' 서비스 출시가 늦어지고 있지만 본격적으로 서비스가 공개되면 추가 비즈니스 기회로 활용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디어유의 올 1분기 실적은 예상치에 부합했지만 마이홈 서비스 출시가 늦어져 추가 실적 확대 모멘텀을 갖지 못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이데일리 김응태 기자] 상상인증권은 27일 디어유(376300)에 대해 올 1분기에 선보이기로 했던 ‘마이홈(My Home)’ 서비스 출시가 늦어지고 있지만 본격적으로 서비스가 공개되면 추가 비즈니스 기회로 활용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투자의견 ‘주목(Attention)’을, 목표주가는 제시하지 않았다. 26일 종가는 3만7500원이다.

이종원 상상인증권 연구원은 “디어유의 올해 1분기 매출액은 전년 대비 30.9% 증가한 117억원, 영업이익은 41% 늘어난 45억원을 기록했다”며 “130만명의 구독자를 확보했다”고 진단했다.

디어유는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버블’을 통해 팬과 아티스트의 몰입감 높은 채팅 서비스를 월구독 모델로 제공하는 업체다. 디어유의 올 1분기 실적은 예상치에 부합했지만 마이홈 서비스 출시가 늦어져 추가 실적 확대 모멘텀을 갖지 못했다. 마이홈 서비스는 아티스트와 팬 프로필 내 개인 공간을 제공하는 서비스다.

이 연구원은 마이홈 서비스 출시할 경우 비즈니스 모델이 한층 확대될 것으로 판단했다. 그는 “마이홈 서비스는 기존 채팅 서비스를 넘어 팬과 아티스트 간 상호작용의 다양성을 넓히고 팬덤의 소비확대 가능성을 볼 수 있어 추후 비즈니스 모델 확장의 초석이 될 서비스가 될 것”이라며 “팬덤의 지출여력인 가격(P)과 팬덤 확보 수요(Q)를 모두 확보해 높은 성장을 리드할 것이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입점 아티스트의 오프라인 활동이 본격화하는 것도 호재다. 이 연구원은 “기존 입점 아티스트들의 오프라인 활동이 국내와 글로벌 모두 시작돼 구독자수도 함께 증가할 것으로 전망한다”고 밝혔다.

스포츠 및 크리에이터로 지적재산권(IP)를 확대한 것도 추가 성장 동력으로 꼽았다. 그는 “기존 K팝 아이돌뿐만 아니라 스포츠, 크리에이터 등 추가적인 IP 유입으로 신규 구독자 성장 여력도 존재한다”며 “올해는 넓은 풀의 구독자를 기반으로 마이홈과 라이브 서비스 기능 출시를 통한 실적 점프가 가능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김응태 (yes010@edaily.co.kr)

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