봄날의 회한[이준식의 한시 한 수]〈162〉

이준식 성균관대 명예교수 2022. 5. 27. 03:06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근심이라곤 모르던 안방 젊은 새댁, 봄날 단장하고 화려한 누각에 오른다.

문득 시야에 잡힌 길섶의 푸른 버들, 낭군더러 벼슬 찾으라 내보낸 걸 후회한다.

밀물처럼 몰려오는 회한(悔恨)과 함께 절로 터져 나오는 탄식.

시제 '규원(閨怨)'은 남자로부터 버림받거나 소외된 여자의 원한을 뜻한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근심이라곤 모르던 안방 젊은 새댁, 봄날 단장하고 화려한 누각에 오른다.

문득 시야에 잡힌 길섶의 푸른 버들, 낭군더러 벼슬 찾으라 내보낸 걸 후회한다.

(閨中少婦不知愁, 春日凝粧上翠樓. 忽見陌頭楊柳色, 悔敎夫壻覓封侯.)

―‘안방 여인의 원망’(규원·閨怨) 왕창령(王昌齡·698∼757)


남편의 부재에도 젊은 아내는 근심 걱정 모른 채 느긋하다. 봄날의 정취를 즐기려 몸단장 새로 하고 누각에 오르는 호사도 누린다. 삶의 굴곡을 체감할 만큼 원숙한 나이도 아니고 부유한 환경이라 어려움을 모르고 지내왔다. 그러니 주저 없이 남편을 벼슬길로 내몰 수 있었을 것이다. 한데 무심하게 보아 넘겼던 풍광들이 오늘따라 더없이 새롭다. 새록새록 환하게 피어오르는 길섶의 버들 빛에 그만 마음이 흐트러진다. 밀물처럼 몰려오는 회한(悔恨)과 함께 절로 터져 나오는 탄식. 아, 왜 내가 벼슬자리 찾아보라 낭군을 다그쳤던가. ‘근심이라곤 모르던’ 데서 ‘낭군 내보낸 걸 후회하는’ 상황으로 치닫게 된 연유는 무엇일까. 마음 깊숙이 감춰진 오랜 기다림과 원망이 푸른 버들의 충동질에 문득 눈을 뜬 것이리라.

시제 ‘규원(閨怨)’은 남자로부터 버림받거나 소외된 여자의 원한을 뜻한다. 이런 부류의 시를 규원시라 불렀고, 원한의 주체가 궁녀 혹은 비빈(妃嬪) 등 궁중 여인일 경우 별도로 궁원시(宮怨詩)라는 명칭을 쓰기도 했다. 이 시들은 드물게는 여성 본인이 짓기도 했지만, 시인이 여인들의 처지나 심정을 대변하듯 읊은 게 대부분이다. 때로 시인들이 자신의 정치적 소외감을 그런 여인의 처지에 빗댄 경우도 있고, 또 책상머리 시인의 무병신음(無病呻吟·병도 없으면서 아픈 척 끙끙대다)처럼 억지로 짜낸 경우도 있다. 이백, 왕창령 등 실제 종군 이력을 거친 시인들의 규원시는 그래서 더 진정성이 돋보인다.

이준식 성균관대 명예교수

Copyright © 동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