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에셋자산운용, 사회적 책임·고객동맹·정직한 기업..금융업계 ESG 선도
미래에셋그룹은 사회적 책임, 고객 동맹, 정직한 회사라는 경영 철학을 바탕으로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을 실천하고 있다.
창업자인 박현주 회장은 “고객과 사회를 위해 투자 회사가 해야 할 일은 미래를 향한 독창적인 투자 철학을 갖는 것”이라고 강조하며 사회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투자를 지향해 왔다. 2021년 말 기준 전통자산 ESG 투자 규모는 약 1조8500억원, 대체투자 규모는 약 8100억원이다.
미래에셋의 ESG 투자는 2000년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미래에셋자산운용은 2000년 1월 의결권행사에 관한 지침을 제정했으며 이후 자본시장법 등에 따라 스튜어드십 코드를 반영해 전면 개정했다. 스튜어드십 코드는 자산운용사가 기업 의사결정에 적극 참여함으로써 주인의 재산을 관리하는 집사처럼 주주로서의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고 투자자에게 이를 투명하게 보고하는 행동 지침을 말한다. 미래에셋자산운용은 투자자 가치 제고를 위해 운용과 분리된 독립 조직에서 의결권을 행사하고 있으며 외부 리서치 기관을 활용함으로써 투명성과 공정성을 제고하고 있다. 2021년 11월에는 책임투자전략센터를 설립했다.
미래에셋자산운용은 2022년 3월 글로벌 탄소배출량 측정 협의체인 PCAF(탄소회계금융협의체)에 가입했다. 현재 금융자산 배출량 측정과 관련된 글로벌 협회로는 PCAF가 유일하다. PCAF는 금융기업의 대출, 투자 등 금융자산의 온실가스 배출량을 일관적으로 측정하고 공개하기 위한 협의체로 유럽에서 시작해 2019년 9월 전 세계로 범위가 확장됐다. 미래에셋자산운용은 ESG 평가 시스템과 체계에 대한 준비를 완료하고 올해부터 본격적으로 시행할 예정이다.
그룹사들도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강화하기 위해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실제로 미래에셋증권은 2006년 국내 증권사 최초로 기업의 비재무적 요소에 대한 경영 성과를 담은 지속가능 경영보고서를 발간하며 업계의 ESG 경영을 선도해 왔다.
미래에셋자산운용은 ESG 경영을 바탕으로 지속가능한 비즈니스 모델을 확립하고 사회적 인식과 제도 변화에 대응한다는 방침이다. 이를 위해 소비자보호·친환경·건전한 노사관계·사회공헌 등 전 영역의 가치를 제고하고 신뢰도를 높여 새로운 경영문화를 안착시킬 예정이다.
ⓒ 경향신문 & 경향닷컴(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나 혼자 산다…월셋집에서 배달음식 먹으며
- 홍준표 “강서구청장 보궐선거, 민주당이 죽 쑤는데도 국민의힘이 밀리고 있어서 유감”
- 손흥민, 유럽 200골 역사를 쐈다
- 이준석 징계 해제 D-100···‘국민의힘’ 간판 달고 총선 출마할까
- [사건 그 후]나은씨는 끝내 ‘가해자 엄벌’을 볼 수 없게 됐다
- 인류는 사실 달에 가본 적 없다? 달에 관한 오해와 진실
- 강성 지지층 목소리만 듣는 민주당···‘이재명 사당화’ 비판 직면
- 장동혁 “‘위증교사 사건’ 없었다면 이재명 대표 대선후보·당 대표 되는 일도 없었을 것”
- [단독]‘김건희 여사 논문’ 질의 피하려?···국민대 이사장, 사비로 미국 출장 43일 연장
- 북한 최선희, 1300만원짜리 구찌백... 현송월은 만원짜리 중국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