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저임금 변수는 '고물가'..알바생도 사장님도 '걱정'
이렇게 오른 물가는 올해 최저임금에도 영향을 줄 걸로 보입니다. 아르바이트생들은 지금 시급으로는 밥 한 끼 먹기 어렵다고 호소하지만, 반대로 이들을 직원으로 쓰는 소상공인들은 원가가 뛰었는데 최저임금까지 오르면 남는 게 없다고 말합니다.
장서윤 기자입니다.
[기자]
윤석열 정부는 앞으로 두 달여 뒤인 8월 초에 내년 최저임금을 결정해야 합니다.
가장 큰 변수는 물가입니다.
특히 최저임금을 주고 받는 소상공인과 알바생이 직격탄을 맞았습니다.
소상공인은 식자재값이 크게 뛴 상황에서 최저임금까지 오르면 너무 부담이 크다는 입장입니다.
[박민정/카페 운영 : 원자잿값이 예년에 비해서 10~20% 인상된 데다가 직원 인건비까지 부담이 늘어나니까 매장을 운영하기가 불가능한 상황입니다.]
소상공인단체는 대안으로 최저임금의 차등적용을 촉구했습니다.
직원 3명을 둔 카페 사장과 직원 300명을 둔 벤처기업 사장의 소득이 차이가 나는 만큼 인건비도 차이를 둘 필요가 있다는 겁니다.
[권순종/소상공인연합회 부회장 : 최저임금이 지난 5년간 가파르게 상승해 와 이걸 따라갈 수 없게 된 소상공인, 많은 영세 업종의 현실을 고려해야…]
반면 알바생들은 지금 최저임금으로는 생활이 쉽지 않다고 말합니다.
[윤충규/아르바이트생 : 밖에서 사 먹었을 때 아무리 싸도 8000원 정도 나오는 것 같고 비싼 밥 같은 경우는 1만원이 넘으니까… 제 생활비로 쓸 수 있는 돈이 많게 남지는 않는 것 같습니다.]
노동계는 차등적용에 반발합니다.
'노동자의 생활 안정'이라는 본래 취지에 맞지 않는 데다 저임금 업종에 취업을 기피하는 '낙인 효과'까지 생길 수 있다는 겁니다.
노동계는 먹고 살 수 있는 생계비가 기준이 돼야 한다며 내년 시간당 최저임금을 올해보다 2700원 오른 1만1860원으로 제시했습니다.
다음달 9일에 열리는 최저임금 3차 전원회의에서도 물가는 핵심 쟁점이 될 전망입니다.
(인턴기자 : 이동한)
CopyrightsⓒJTBC, All Rights Reserved.
- [단독] 두쪽난 민주당, 봉하서 "무릎꿇자"에 지도부 갈등 시작
- [단독] 일 극우세력, 도쿄 한복판서 '소녀상' 성매매 연상 행위
- 졸속입법이 '위헌' 부메랑으로…음주운전 재판 당장 영향
- '제2 루나' 10억개 발행한다는데…전문가 "꼼수 가능성"
- 코로나 봉쇄중 총리실 '술판'…영국 '파티게이트' 일파만파
- 박광온 원내대표 등 민주당 원내지도부, '체포안 가결' 책임 지고 사퇴 표명
- 이제 '법원의 시간'…이재명 구속영장 심사 이르면 다음 주
- '한덕수 총리 해임안·검사 탄핵안' 국회 통과…헌정사상 처음
- 김행 여가부 장관 후보자 '자질' 논란…과거 기사·유튜브 발언 도마에
- [단독] '흉상 이전' 공사 계약까지 마쳤던 육사, 논란 커지자 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