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국 전세준 집주인만 봉?..내년 6월부턴 과태료 폭탄 터진다

박상길 2022. 5. 26. 15:58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정부가 '임대차 3법' 가운데 하나인 전월세 신고제의 계도기간을 1년 연장하기로 했다.

국토교통부는 26일 제도 정착을 위한 홍보와 지자체의 행정 여건 등을 감안해 전월세 신고제의 계도기간을 내년 5월 31일까지로 1년 연장한다고 밝혔다.

정부는 작년 6월 1일 전월세 신고제를 시행하면서 당초 올해 5월 31일까지 1년간을 계도기간으로 운영하기로 하고 과태료를 부과하지 않고 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한 시민이 서울 여의도 63스퀘어에서 아파트 밀집 지역을 가리키고 있다. <연합뉴스>

정부가 '임대차 3법' 가운데 하나인 전월세 신고제의 계도기간을 1년 연장하기로 했다.

국토교통부는 26일 제도 정착을 위한 홍보와 지자체의 행정 여건 등을 감안해 전월세 신고제의 계도기간을 내년 5월 31일까지로 1년 연장한다고 밝혔다.

전월세 신고제는 2020년 7월 31일 통과된 '임대차 3법' 가운데 하나로 보증금이 6000만원을 넘거나 월세가 30만원을 초과하는 경우 계약 체결일로부터 30일 내 임대인과 임차인이 의무적으로 계약 내용을 신고하도록 한 제도다. 이를 어기면 최대 100만원의 과태료가 부과된다.

정부는 작년 6월 1일 전월세 신고제를 시행하면서 당초 올해 5월 31일까지 1년간을 계도기간으로 운영하기로 하고 과태료를 부과하지 않고 있다. 전월세 신고제 시행 이후 매달 전월세 신고 건수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지만, 전체 거래 건수보다는 여전히 신고 누락분이 많은 것으로 국토부는 파악하고 있다. 특히 임대인들이 전월세 거래를 신고할 경우 임대소득세 등 과세로 이어질 것을 우려해 신고에 소극적인 것으로 전해졌다.

정부는 전월세 신고제 도입 당시부터 신고 자료를 과세 자료로 활용할 계획이 없다는 입장을 밝혔지만, 임대인들을 중심으로 정부가 언제든 방침을 바꿔 국세청 과세 자료로 사용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는 상황이다. 이 때문에 시장에선 전월세 신고를 피하려고 월세를 30만원 이하로 낮추는 대신 관리비를 80만∼100만원 이상으로 높여 계약하는 편법까지 등장하기도 했다.

생계 목적의 임대사업을 하는 노년층의 경우 아파트보다 잦은 단기 임대계약이 많은 상황이지만 신고 방법이 어렵거나 불편해 누락하는 사례도 적지 않다. 지자체들도 당장 다음 달부터 신고 누락된 계약을 찾아내 과태료를 부과하려면 막대한 행정력을 투입해야 하는데 인력 부족을 호소하는 상황이다.

국토부는 "통상 임대차 계약 기간이 2년인 점을 고려하면 아직 대다수 국민이 홍보부족, 계약시기 미도래 등으로 신고제를 경험해보지 못해 제도 정착에 시간이 더 필요한 것으로 보여 계도기간을 1년 연장한다"고 설명했다. 국토부는 이와 함께 신고율을 높이기 위해 다음 달부터 행정안전부의 국민비서 서비스를 통해 임대차 신고 의무 등을 안내하는 '알림톡' 서비스를 시작하고 지자체별 순회 교육을 벌이는 등 홍보를 강화할 계획이다.

국토부는 전월세 신고제가 시행된 작년 6월부터 올해 3월까지 122만3000여 건의 임대차 계약이 신고됐으며 이 가운데 신규 계약은 79%(96만8000여 건), 갱신 계약은 21%(25만4000여 건)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신고 건수는 작년 6월 6만8000건에서 작년 9월 10만4000건, 작년 12월 13만4000건, 올해 3월 17만3000건 등 매달 증가 추세다.

이에 따라 작년 6월부터 올해 3월까지 전월세 신고 건수는 1년 전 같은 기간(2020년 6월부터 2021년 3월) 208만9000여 건과 비교해 13% 증가했다. 국토부는 특히 상대적으로 확정일자 신고가 적던 월세와 비아파트 물량의 신고가 각각 25%(76만2000건→95만6000건), 13%(96만6000건→109만4000건)씩 늘어나 정확한 시장 모니터링이 가능해졌다고 평가했다.박상길기자 sweatsk@dt.co.kr

Copyright © 디지털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