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은 창문[이은화의 미술시간]〈216〉
이은화 미술평론가 2022. 5. 26. 03:03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1920년 마르셀 뒤샹은 목수를 시켜 작은 크기의 프랑스식 창을 만들었다.
1920년에 처음 제작된 이 창은 뒤샹 작업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말장난을 즐겼던 뒤샹은 글자 몇 개를 바꿔서 전혀 다른 의미의 문장을 만들어 내곤 했는데, 이 작품의 제목인 '신선한 과부(Fresh Widow)'도 '프랑스식 창문(French Window)'에서 철자 몇 개를 바꾼 것에 불과하다.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1920년 마르셀 뒤샹은 목수를 시켜 작은 크기의 프랑스식 창을 만들었다. 창문에는 유리 대신 검은 가죽이 덧대어져 있어서 무용하기 짝이 없어 보인다. 도대체 뒤샹은 왜 이런 창을 만든 걸까? ‘신선한 과부’라는 생뚱맞은 제목은 또 뭘 의미하는 걸까?
뒤샹은 20세기 미술에 가장 큰 영향을 준 미술가로 손꼽힌다. ‘현대미술의 아버지’로 불리는 그는 예술가가 수공업적으로 그리거나 만드는 전통 예술을 거부하고 기성품을 선택해 ‘레디메이드’라 명명했다. 1913년 그는 입체파 그림을 포기한 뒤 세상의 통념을 뒤집는 첫 레디메이드 작품을 선보였고, 1917년 뉴욕 전시에 출품한 흰 변기로 최고의 명성을 얻었다. 1920년에 처음 제작된 이 창은 뒤샹 작업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스스로는 새로운 작업의 출발점이라고 말한다. 말장난을 즐겼던 뒤샹은 글자 몇 개를 바꿔서 전혀 다른 의미의 문장을 만들어 내곤 했는데, 이 작품의 제목인 ‘신선한 과부(Fresh Widow)’도 ‘프랑스식 창문(French Window)’에서 철자 몇 개를 바꾼 것에 불과하다. 장난스러운 표현이지만 실은 암울한 시대상을 담은 제목이기도 하다. 제1차 세계대전의 여파로 당시 유럽에는 남편을 잃은 여성들이 많았기 때문이다. 창문 아래에는 그의 여성 분신 이름인 ‘로즈 셀라비’로 서명돼 있다. 뒤샹이 여성 이름으로 서명한 첫 작품으로 이후 뒤샹은 성별까지 깨는 과감한 도전을 이어나갔다.
“눈앞의 관객을 기쁘게 하는 예술은 위험하다. 나는 50년 후, 아니 100년 후의 관객을 기다릴 것이다.” 뒤샹이 한 말이다. 혁신적인 예술가는 시대를 앞선 작품을 만들어야 하지, 당장 환영하며 찬사를 보내는 대중을 경계해야 한다는 의미다. 창문은 보통 바깥세상으로 통하는 밝은 미래를 상징한다. 검게 덧씌워진 창문은 미래가 없는 암울한 세상과 앞을 내다보지 못하는 어리석은 사람에 대한 그만의 냉소적인 표현은 아니었을까.
뒤샹은 20세기 미술에 가장 큰 영향을 준 미술가로 손꼽힌다. ‘현대미술의 아버지’로 불리는 그는 예술가가 수공업적으로 그리거나 만드는 전통 예술을 거부하고 기성품을 선택해 ‘레디메이드’라 명명했다. 1913년 그는 입체파 그림을 포기한 뒤 세상의 통념을 뒤집는 첫 레디메이드 작품을 선보였고, 1917년 뉴욕 전시에 출품한 흰 변기로 최고의 명성을 얻었다. 1920년에 처음 제작된 이 창은 뒤샹 작업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스스로는 새로운 작업의 출발점이라고 말한다. 말장난을 즐겼던 뒤샹은 글자 몇 개를 바꿔서 전혀 다른 의미의 문장을 만들어 내곤 했는데, 이 작품의 제목인 ‘신선한 과부(Fresh Widow)’도 ‘프랑스식 창문(French Window)’에서 철자 몇 개를 바꾼 것에 불과하다. 장난스러운 표현이지만 실은 암울한 시대상을 담은 제목이기도 하다. 제1차 세계대전의 여파로 당시 유럽에는 남편을 잃은 여성들이 많았기 때문이다. 창문 아래에는 그의 여성 분신 이름인 ‘로즈 셀라비’로 서명돼 있다. 뒤샹이 여성 이름으로 서명한 첫 작품으로 이후 뒤샹은 성별까지 깨는 과감한 도전을 이어나갔다.
“눈앞의 관객을 기쁘게 하는 예술은 위험하다. 나는 50년 후, 아니 100년 후의 관객을 기다릴 것이다.” 뒤샹이 한 말이다. 혁신적인 예술가는 시대를 앞선 작품을 만들어야 하지, 당장 환영하며 찬사를 보내는 대중을 경계해야 한다는 의미다. 창문은 보통 바깥세상으로 통하는 밝은 미래를 상징한다. 검게 덧씌워진 창문은 미래가 없는 암울한 세상과 앞을 내다보지 못하는 어리석은 사람에 대한 그만의 냉소적인 표현은 아니었을까.
이은화 미술평론가
Copyright © 동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동아일보에서 직접 확인하세요. 해당 언론사로 이동합니다.
- 尹 “대기업-中企 상생협력 길 열겠다”…테이블 60곳 돌며 격려
- [김순덕 칼럼]26세 박지현… 민주당의 희망, 이재명의 재앙
- 박홍근 “개인으로 있는 자리 아냐”…박지현 “그럼 왜 날 뽑았나”
- 무장한 전투기 활주로에 등장…공군 ‘엘리펀트 워크’ 훈련 실시 [청계천 옆 사진관]
- 우크라 침공 90일째… 돈바스, 2차대전 후 최대 격전 중
- 친문과 文 사저 찾은 이낙연 “美 출국 계획 보고드렸다”
- ‘이재명 유세’ 비공개 전환…박민영 “좋은 볼거리 사라져”
- 지하철 휴대폰 폭행 20대 최후진술…“간호조무사 실습 때 노인 싫어져”
- 윤호중 “부정확한 여론조사, 국민 혼란스럽게 해”
- 권성동, 尹에 “‘文정부 출신’ 윤종원 국무조정실장 인선 반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