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7회 LG배 조선일보 기왕전] 치명적 失足

이홍렬 바둑전문기자 2022. 5. 26. 03:00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국내선발전 결승1국 <흑 6집반 공제·각 1시간>
白 최정 九단 / 黑 조한승 九단

<제10보>(159~167)= 최정(26)은 아직 창창한 현역임에도 많은 ‘전설’을 적립 중이다. LG배만 해도 여성 기사의 본선 진출 4회 기록을 독식하고 있다(1번은 와일드카드). 올해 바둑리그선 포스트시즌 포함 10승(6패)을 따내 바둑리거 72명 중 다승 12위에 올랐다. 지난해 여자리그 때는 19전 전승의 퍼펙트 시즌을 보냈다. 움직일 때마다 놀라운 기록을 쏟아낸다.

백이 △에 뻗은 장면. 좌상 중앙에 백집을 형성하는 것이 목적이다. 흑은 159로 삭감하면서 160을 유도, 161로 늘어 약간이나마 중앙 흑집을 불렸다. 163때 백 164가 치명적 실족이었다. 참고 1도 1~8로 좌변 흑진을 삭감한 뒤 9로 지켰으면 백승이 확실했다는 결론. 이 대목서 마지막 초읽기에 몰린 것도 최정의 불운이었다.

166도 흑 ▲ 한 점 포획에 지나치게 집착한 문제수. 참고 2도처럼 서로 적진을 깨는 발상이 백에게 바람직했다. 이 수순을 밟은 뒤 실전보 ‘가’로 젖혀갔으면 역시 백의 낙승이었다는 결론. 흑이 167로 본체를 연결해간 것은 당연하다. 그래도 백이 이 바둑을 승리할 기회는 아직 갖고 있었다. 167 장면에서 백의 최선은 어디일까.

Copyright © 조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