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북·중·러 도발과 무력시위, 안보 대응에 빈틈 없어야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북한이 어제 또 도발을 감행했다.
합참은 "북한이 25일 평양 순안 일대에서 오전 6시, 6시37분, 6시42분 등 세 차례에 걸쳐 동해상으로 탄도미사일을 발사했다"고 밝혔다.
북한의 도발은 코로나19로 하루에 수만명의 '발열자'가 발생하는 상황에서도 핵을 포기하지 않겠다는 의지를 드러냈다는 점에서 심각하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7차 핵실험 카드 시간문제" 우려
동맹 토대의 '새 해법' 마련 시급
북한의 도발은 코로나19로 하루에 수만명의 ‘발열자’가 발생하는 상황에서도 핵을 포기하지 않겠다는 의지를 드러냈다는 점에서 심각하다. 북한의 행태에 유감을 표하지 않을 수 없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한국, 일본을 차례로 방문하고 어제 귀국행 비행기에 탑승한 시점을 택해 도발한 것은 한·미·일 3국을 겨냥한 다목적용 카드로 읽힌다. 한반도 전략자산 전개 등을 포함한 ‘한미확장정억제전략협의체(EDSCG)’ 재가동과 미국·일본·호주·인도 등 4국 안보대화체 ‘쿼드’정상회의에서 북한 비핵화 연대 방침을 밝힌 데 따른 반발일 것이다.
이런 상황이라면 북한의 7차 핵실험은 초읽기에 들어간 것으로 보인다. 정보당국에서 ‘기폭장치 실험설’까지 언급하는 마당이라 실로 우려하지 않을 수 없다. 다만 ICBM 발사로 ‘레드라인’을 넘은 북한이 실제로 핵실험 카드를 쓸지는 좀 더 두고 봐야 한다. 북한이 핵보유국으로 인정받고 싶은 욕심과 현실은 전혀 다르기 때문이다. 바이든 대통령의 귀국 시점을 도발시기로 잡은 것은 ‘충돌’을 최소화하면서 대화의 불씨는 살려놓고 싶다는 복잡한 이중적 속내를 드러낸 것으로 볼 수 있다.
정부가 어제 윤석열 대통령이 주재하는 첫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열고 “탄도미사일 발사는 유엔안보리 결의를 위반하는 불법행위이자 한반도와 국제사회의 평화를 위협하는 중대한 도발”이라며 규탄한 것은 당연하고 적절한 조치다. 중국, 러시아의 가세로 이전보다 더 복잡해진 안보환경과 맞닥뜨려야 한다. 한·미동맹, 한·미·일 공조는 가야 할 길이지만 창의적이고 실용적인 외교적 해법을 찾는 것도 시급한 일이다.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애들, 남편 있어도 행복하지 않았다” 장윤정, 가족도 이해 못 하는 아픔 고백
- “이규혁한테 속았다, 결혼 후회” 손담비, 눈물 쏟으며 밝힌 남편 ‘만행’
- 김혜경 여사, ‘90도’ 인사하는데…‘李 선배님’ 권성동, 못 본 척?
- 이게 가능해? 32년째 은행 이자 20% 받고 있는 송은이, 놀라운 재테크 비결
- “아들 유전자 검사…이게 인간이냐” 외도 남편 김학래 쓰레기 인성 폭로한 임미숙
- 날라리인 줄 알았던 소지섭, 어려웠던 집안 일으켜 세운 효자였다
- 불륜 남편에 위자료 40억 주고 이혼?…요리연구가 이혜정 파경설, 진실은
- “연봉 2억2000만원, 사택에 휴가비까지?”…여기가 진짜 ‘넘사벽’ 직장입니다
- 박미선 생각에 결국 눈물 쏟은 이봉원…불화설·이혼설 모두 날렸다
- 생방 중 김혜경 여사 머리 밀친 카메라…대통령실 “각별한 주의 부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