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에살며] 여성가족부, 이주여성 배려 아쉽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나는 여성가족부 산하 다문화가족지원센터에서 통·번역지원사로 2년 넘게 근무한 이주여성이다.
통·번역지원사가 하는 일은 입국 초기의 결혼이민자들이 정착 단계에서 경험하는 의사소통 문제를 해결하고 한국 사회에 빠르게 적응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일반 행정직원들은 연차에 따라 호봉이 적용되어 경력이 인정되고 승진 기회가 열려 있는 것처럼 보인다. 반면 다문화 직원들은 대부분 무기한 계약직으로 근무하고 있다. 매년 계약서를 다시 써야 한다. 여가부가 배포한 지침을 살펴보면 이중언어 코칭 및 통·번역 지원사업 담당 직원의 급여가 매년 ‘최저임금 대비 몇 %’라고 나와 있다. 따라서 나 같은 다문화 직원들은 여기에 수년간 근무해도 호봉이 적용되지 않고 자연히 경력을 인정받을 수 없다. 이는 선임, 팀장, 센터장 등으로 승진할 기회도 없다는 뜻이다.
이런 문제를 알게 된 순간 윗사람한테 호소를 했다. 돌아온 답변들은 이랬다. “여가부에서 예산 지원을 받는 사업인데 예산이 한정돼 있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지만 잘 안 된다.” “특별채용이라 어쩔 수 없다.” 예민한 나한테는 이런 뜻으로 읽혔다. ‘다문화 직원한테 특별채용으로 일자리 마련해주는 것도 다행인 줄 알아라. 하고 싶으면 그냥 하고 정 불편하면 퇴사하라.’
여가부나 가족센터는 다문화 관련 업무를 수행하는 기관이다. 그런데 다문화 직원, 이주여성들을 이런 식으로 처우한다면 이는 단순한 ‘임금차별’을 넘어선 훨씬 더 심각한 차별이 아닐까 생각한다. 다문화 관련 기관에서조차 다문화 직원이란 이유로 차별을 받는다면 대체 어디를 가야 차별을 안 받을까.
가족센터의 특성상 언어가 중요하기 때문에 이중언어 코칭과 통·번역 지원 모두 필수적 업무다. 다문화 직원들의 경우 통·번역 지원, 이중언어 코칭 업무뿐만이 아니고 각자가 속한 다문화 공동체의 유지에 기여하는 역할을 통해서도 가족센터의 ‘실적’을 충분히 달성할 수 있다고 여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여가부는 지금이라도 차별적 임금체계를 고쳐야 한다. 같은 직장, 같은 직위에 근무하면 일반 행정직원이든 다문화 직원이든 같은 임금체계를 적용해야 한다. 모든 직원이 차별 없이 공평하게 경력을 인정받고 승진 기회도 얻을 수 있도록 개선이 필요하다.
한리아 베트남어 통·번역지원사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축의금은 10만원이지만…부의금은 “5만원이 적당”
- 빠짐없이 교회 나가던 아내, 교회男과 불륜
- 9초 동영상이 이재명 운명 바꿨다…“김문기와 골프사진? 조작됐다” vs “오늘 시장님과 골프
- 입 벌리고 쓰러진 82살 박지원…한 손으로 1m 담 넘은 이재명
- 회식 후 속옷 없이 온 남편 “배변 실수”→상간녀 딸에 알렸더니 “정신적 피해” 고소
- 일가족 9명 데리고 탈북했던 김이혁씨, 귀순 1년 만에 사고로 숨져
- “걔는 잤는데 좀 싱겁고”…정우성, ’오픈마인드‘ 추구한 과거 인터뷰
- 한국 여학생 평균 성 경험 연령 16세, 중고 여학생 9562명은 피임도 없이 성관계
- 사랑 나눈 후 바로 이불 빨래…여친 결벽증 때문에 고민이라는 남성의 사연
- "오피스 남편이 어때서"…男동료와 술·영화 즐긴 아내 '당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