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전남-경남-제주 연결 '우주산업 지대' 구축을"

김진원 2022. 5. 25. 17:24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스트롱코리아 포럼 2022
한국 우주산업 현재와 미래
제주, 통합위성센터 운영
대전에선 핵심기술 연구개발
경남은 부품생산 특화 기지로
전남, 발사체 조립·생산 맡아
내달 15일 누리호 2차 발사
민간 주도 소형 위성시대 대비
25일 서울 용산 드래곤시티에서 열린 ‘스트롱코리아 포럼 2022’ 참석자들이 행사에 앞서 기념촬영하고 있다. 앞줄 왼쪽부터 허건영 국방기술품질원장, 박종구 초당대 총장, 이태식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차기 회장, 오세정 서울대 총장, 스테판 이스라엘 아리안스페이스 최고경영자, 이종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김정호 한국경제신문 사장, 김영식 국민의힘 국회의원, 최영범 대통령실 홍보수석, 윤종규 KB금융그룹 회장, 함영주 하나금융그룹 회장, 손병환 농협금융 회장. 허문찬 기자

“미국 플로리다 공군기지를 보면 스페이스X 등 민간 기업이 발사장을 임차해 금요일에 로켓을 조립하고 토요일에 쏘는 시대가 됐습니다. 한국도 제주도에 전국의 로켓 관련 스타트업이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는 인프라를 마련할 필요가 있습니다.”

김경근 국방과학연구소(ADD) 책임연구원은 한국의 우주산업 발전 방안에 대해 이같이 말했다. 분야별 강점을 지닌 전국 주요 거점을 연결하고 제주도를 포함한 국토 전역을 활용해 미래 먹거리로서의 우주산업 발전을 도모해야 한다는 것이다.

 ○로켓 개발·생산·발사, 지역별로 분담

25일 열린 ‘스트롱코리아 포럼 2022’에는 이상률 한국항공우주연구원(KARI) 원장과 한창헌 한국항공우주산업(KAI) 미래사업부문장, 김수종 이노스페이스 대표, 김 연구원 등 국내 최고 우주 전문가들이 참석했다. 이들은 다음달 2차 발사를 앞둔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 개발과 관련해 한국 우주산업의 현재와 미래를 진단했다.

김 연구원은 대전과 전남, 경남과 제주를 연결한 ‘스페이스 다이아몬드’ 모델을 중심으로 민·관 협력체계를 강화할 것을 제언했다. 이 모델에선 대전에 있는 ADD와 KARI가 핵심기술 연구 개발을 담당한다. 사천시 등 경남에 있는 KAI와 협력사들은 위성과 발사체 등 우주 부품 생산을, 전남 나로우주센터 등은 발사체 조립 생산 및 발사를 맡는 방식이다. 제주도는 열도인 일본의 지리적 위치를 고려했을 때 최적의 로켓 발사지라는 게 김 연구원의 설명이다. 일본 영공을 침범하지 않으면서도 태평양 쪽으로 발사체를 쏘아 올릴 수 있기 때문이다.

그는 올해 하반기 제주도에 들어서는 국가통합위성운영센터를 중심으로 이노스페이스, 페리지에어로스페이스 등 로켓 스타트업과 민간 주도의 우주산업화를 추진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최근 페리지에어로스페이스는 제주에서 세 차례 로켓 시험발사를 마쳤다. 정부가 주도해 대형 발사체를 개발하는 ‘올드 스페이스’ 시대에서 기업이 다양한 목적에 맞는 소형 발사체를 쏘아 올리는 ‘뉴 스페이스’ 시대로 변화하고 있는 만큼 이에 대비해야 한다는 것이다.

 ○세계 위성 중 90% 소형

이 원장은 누리호 개발의 성과와 중요성을 짚었다. 그는 “작년 10월 누리호 1차 발사가 아쉽게도 최종 목표를 이루진 못했지만 엔진부터 시작해 모든 부품을 우리 손으로 만들었다는 데 의미가 깊다”며 “다음달 15일 2차 발사에서는 실제 위성을 궤도에 진입시키는 데 반드시 성공할 것”이라고 했다.

2017년부터 15t급 추력의 하이브리드 로켓(액체·고체연료 혼합 로켓)을 개발해 소형 위성 발사를 추진하고 있는 이노스페이스의 김수종 대표는 “연간 세계에서 발사되는 위성의 90% 이상이 600㎏ 이하 소형 위성”이라고 말했다. 위성 등 탑재체를 개발해 쏴 달라는 고객(대학 연구소 기업 등)이 많아졌다는 뜻이다. 김 대표는 “한국은 10여 개의 로켓 스타트업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며 “이른 시일 내 우주산업에 진출해 성과를 낼 것”이라고 했다.

로켓 스타트업들의 수익 모델을 묻는 현장 질문도 이어졌다. 이에 김 대표는 “근본적으론 재사용 로켓 기술을 확보해야 수익성을 높일 수 있다”며 “로켓에서 파생된 기술을 축적해 사업 모델을 발전시켜 나가고 있다”고 설명했다.

누리호의 1단 추진제 탱크 제작 및 전체 조립을 맡은 KAI의 한창헌 미래사업부문장은 한국 우주산업 생태계 조성을 앞으로 남은 핵심 과제로 짚었다. 누리호 제작에는 300여 개 협력사가 참여했다. 누리호 발사를 통해 쌓은 노하우를 바탕으로 글로벌 우주 시장에 자리 잡아야 한다는 것이 한 부문장의 지론이다.

KAI는 3차원(3D) 프린터를 활용한 로켓 부품 제조 기술을 확보하고, 스마트팩토리를 활용해 생산 비용을 줄여 국내 업체들의 상생 기반을 마련하겠다고 했다. 한 부문장은 “KAI의 소명은 대한민국에 항공우주산업의 뿌리를 내리는 것”이라며 “국내 업체들과 동반 성장하며 우주 발사체를 위한 에코시스템을 구축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진원 기자 jin1@hankyung.com

경제지 네이버 구독 첫 400만, 한국경제 받아보세요
한국경제신문과 WSJ, 모바일한경으로 보세요

Copyright © 한국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