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외 채무·금융자산 역대 최대.."건전성 양호"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최근 해외 직접투자가 늘며 우리나라 대외금융자산이 사상 최대 규모를 기록했습니다.
한국은행이 오늘(25일) 발표한 ‘국제투자대조표’에 따르면 지난 3월 말 기준 대외금융자산은 2조 1천893억 달러로 집계돼 지난해 12월 말보다 109억 달러 늘었습니다.
대외금융자산 중 거주자의 직접투자가 203억 달러, 파생금융상품이 120억 달러 증가했습니다.
해외증권투자는 글로벌 주가 하락과 달러 강세 등으로 240억 달러 줄었는데 2020년 1분기 이후 8분기 만에 감소했습니다.
한국은행은 “올해 1분기 경상수지가 흑자인 가운데 직접투자 등이 지속적으로 확대돼 대외금융자산이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며 “주가 하락과 원/달러 환율 상승 등 비거래 요인으로 증가세는 다소 둔화했다”고 설명했습니다.
외국인의 국내 투자를 의미하는 대외금융부채는 1조 4천933억 달러로, 전 분기 말보다 255억달러 감소했는데 직접투자는 4억 달러 증가하는 데에 그친 반면 국내 주가 하락 등으로 증권투자가 504억 달러 줄어들었습니다.
대외금융자산은 늘고 대외금융부채는 줄면서 한국의 대외지급 능력을 반영하는 순대외금융자산은 6천960억 달러를 기록해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습니다.
우리나라의 3월 말 기준 대외채무는 6천541억 달러로 지난해 말보다 217억 달러 늘어 역시 역대 최대치입니다.
한은 관계자는 “대외채무 증가는 우리나라 국채에 대한 외국인의 투자가 늘고 국내 기업, 은행 등의 해외 발행 증권도 증가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습니다.
기획재정부는 “연초 수출입은행의 대규모 해외채권 발행 등의 영향으로 외채 증가 폭이 확대됐으나 건전성은 양호한 수준”이라며 “외환보유액이 줄어 준비자산 대비 단기외채 비율은 상승했지만, 여타 신흥국과 비교하면 여전히 낮은 수준”이라고 평가했습니다.
네이버에서 SBS Biz 뉴스 구독하기!
저작권자 SBS미디어넷 & SBS I&M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SBS Medianet & SBS I&M 무단복제-재배포 금지
- 정의선 회장 대우가와 사돈 맺어…장녀, 김덕중 전 교육장관 손자와 6월 결혼
- 테슬라 주가, 전고점에서 반토막…머스크 재산은 2천억달러 아래로
- [단독] 윤석열표 청년주택 통합브랜드 나온다…신혼희망타운은 역사 속으로
- 민주당發 종부세 완화…다주택자들 ‘뒤통수 맞았다' 시끌, 왜?
- [단독] 삼성전자가 바꿨다…'미혼자' 생일선물도 챙긴다
- ‘삼성 450조·현대차 63조’…재계 잇따른 역대급 투자
- [단독] 이 참에 ‘달달이’ 끊어봐?…초콜릿 2위 ‘페레로’ 또 오른다
- 낮아지는 카드론 금리…서민 아닌 고신용자 ‘급전창구’?
- ‘늑장대응’ 질타 속 코빗도 ‘루나’ 상폐 결정
- 원숭이두창 백신 일반인 접종 안한다…Q&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