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교육감 후보 토론서 고교평준화 논쟁..손흥민·BTS까지 소환

최종호 2022. 5. 25. 12:56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6·1 지방선거 경기도교육감 선거에서 맞붙은 진보성향 성기선 후보와 보수성향 임태희 후보가 25일 TV 토론회에서 고교평준화 정책을 두고 치열한 논쟁을 벌였다.

경기도선거방송토론위원회 주관 토론회에서 두 후보는 잉글랜드 프리미어리그에서 득점왕을 차지한 손흥민과 월드 한류스타로 자리매김한 방탄소년단(BTS)까지 각자의 주장을 뒷받침하는 사례로 들어 눈길을 끌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임태희 "맞춤형 교육으로 각자 끼·천재성 살려줘야"..부정적
성기선 "교육과정 다양화로 천재성 살린 성공 사례"..확대 입장

(수원=연합뉴스) 최종호 기자 = 6·1 지방선거 경기도교육감 선거에서 맞붙은 진보성향 성기선 후보와 보수성향 임태희 후보가 25일 TV 토론회에서 고교평준화 정책을 두고 치열한 논쟁을 벌였다.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경기도 교육감 후보자 토론회 (고양=연합뉴스) 25일 오전 경기도 고양시 일산 MBC 스튜디오에서 열린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경기도 교육감 후보자 토론회'에서 임태희 후보(왼쪽)와 성기선 후보가 토론회 시작 전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2022.5.25 [경기사진공동취재단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경기도선거방송토론위원회 주관 토론회에서 두 후보는 잉글랜드 프리미어리그에서 득점왕을 차지한 손흥민과 월드 한류스타로 자리매김한 방탄소년단(BTS)까지 각자의 주장을 뒷받침하는 사례로 들어 눈길을 끌었다.

임 후보는 수원을 비롯한 도내 12개 시에서 시행 중인 고교평준화 정책에 대한 입장을 묻는 사회자 질문에 "지금 학생들의 성향은 과거 대량교육 시대하고는 완전히 다르고 교육 여건도 맞춤형 교육이 가능해서 학생들이 자신의 끼를 맘껏 발휘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부정적인 견해를 밝혔다.

그러면서 "서열화라고 규정하는 비판이 있는데 손흥민과 BTS를 보면 어느 한쪽으로 능력이 뛰어나다"며 "국영수 시험 치는 것만 떠올리며 서열화라고 규정하는 것은 과거식 잣대"라고 비판했다.

그는 토론회 말미에도 손흥민과 BTS를 다시 거론하며 "각자의 천재성을 살리는 방향으로 교육이 나아가야 한다"고 주장했다.

반면 성 후보는 고교평준화를 확대해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성 후보는 "고교평준화는 1974년 박정희 대통령 시절에 시작한 제도로 당시 진학 열정이 과열되니까 학생을 선발하지 않고 거주지에서 가까운 곳의 학교로 배정하기 위해 도입됐다"며 "이는 우수한 교육을 보편적으로 시행하자는 교육 기회 평등에 부합하는 정책"이라고 말했다.

이어 "하향평준화 됐다는 일부 지적이 있는데 1997년 전국 고등학생 30만명의 성적을 3년 동안 추적해보니 평준화 지역의 점수가 비평준화 지역보다 10점 정도 높게 나왔다"며 "이런 연구를 토대로 2002년에 경기도 1기 신도시 지역에서 평준화가 시행됐고 이제 학계에서 평준화로 인한 성적 하향 주장은 전혀 인정받지 못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임 후보가 언급한 손흥민과 BTS에 대해서는 "지금의 학교 프로그램의 다양화로 진로 적성을 찾아간 것"이라며 고교평준화 속에서도 교육과정의 다양화로 천재성을 살린 성공사례로 들었다.

경기도 교육감 후보자 토론회 참석한 두 후보 (고양=연합뉴스) 25일 오전 경기도 고양시 일산 MBC 스튜디오에서 열린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경기도 교육감 후보자 토론회'에서 임태희 후보와 성기선 후보가 토론회 시작을 기다리고 있다. 2022.5.25 [경기사진공동취재단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두 후보는 경기도교육청이 그동안 추진해온 혁신교육을 두고도 첨예하게 대립했다.

성 후보는 "2000년대 초반에 학생이 소외되는 교실 붕괴 현상을 목도하고 이를 바꿔서 학생이 중심인 학교다운 학교를 만들기 위해 혁신교육이 시작돼 현재 도내 2천500개 정도의 초중등학교 중 1천400여개가 혁신학교로 지정될 만큼 보편화됐다"며 유지·계승 입장을 밝혔다.

임 후보는 "혁신학교를 두고 학생은 일반학교와 뭐가 다른지 모르겠다고 하고 부모는 혁신학교로 지정될까 봐 걱정하면서 반대하고 있다"며 "혁신학교의 취지가 아닌 일방적으로 밀어붙인 것이 문제로 원점에서부터 혁신학교를 재검토하겠다"고 다른 목소리를 냈다.

두 후보는 돌봄 문제와 디지털교육 분야에 관해서는 모두 지원을 강화하겠다고 했다.

이번 선거에서 두 후보는 교육철학과 정책공약이 차별화를 보여 도민들이 어떤 선택을 할지 주목된다.

경기도교육감 선거가 보수와 진보 진영 간 일대일 구도로 치러지는 것은 직선제로 전환된 2009년 이후 처음이다.

도민들은 그동안 김상곤 전 교육감과 이재정 현 교육감 등 진보 성향 후보들을 내리 세 차례 선택한 바 있다.

zorba@yna.co.kr

▶제보는 카톡 okjebo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