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끝나도 비대면진료 이어질까..4차위 정책논의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코로나 팬데믹 이후 일상에 자리한 비대면 진료의 제도화 방향을 모색하는 자리가 열린다.
이번 세미나는 코로나19(COVID-19) 이후 비대면 진료 관련 법률 개정 움직임이 활발한 가운데 열린다.
정부는 코로나19 이후 비대면 진료를 한시적으로 허용해왔다.
비대면 진료가 필요하다는 국민 의견도 코로나 팬데믹 이전 32.8%에서 이후 47.6%로 늘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코로나 팬데믹 이후 일상에 자리한 비대면 진료의 제도화 방향을 모색하는 자리가 열린다.
대통령직속 4차산업혁명위원회(4차위)는 오는 26일 서울 여의도 전경련회관에서 대한민국의학한림원과 공동 정책 세미나를 개최한다고 25일 밝혔다. 이번 세미나는 코로나19(COVID-19) 이후 비대면 진료 관련 법률 개정 움직임이 활발한 가운데 열린다. 새 정부 역시 110대 국정과제에 비대면 진료 제도화를 포함시켰다.
정부는 코로나19 이후 비대면 진료를 한시적으로 허용해왔다. 이후 비대면 진료 필요성에 대한 국민 인식도 높아졌다. 한국보건산업진흥원에 따르면 2020년 2월부터 지난 4월까지 비대면 진료 건수는 총 440만 건이다. 비대면 진료가 필요하다는 국민 의견도 코로나 팬데믹 이전 32.8%에서 이후 47.6%로 늘었다.
4차위는 대한민국의학한림원과 함께 이해관계자 별 심층 인터뷰를 통해 주요 쟁점에 대한 의견을 수렴해왔다. 이번 세미나에서 그 결과를 공유하고, 국내 의료환경에 적합한 비대면 진료의 제도화를 위한 사회적 합의 방향을 논의한다.
행사는 송경희 4차위 단장의 모두발언을 시작으로 김헌성 가톨릭의대 교수의 기조발표가 이어진다. 김 교수는 국내외 비대면 진료 추진 상황을 점검하고 심층 인터뷰 의견을 기반으로 주요 쟁점에 대한 합의점을 제안한다.
패널토론에서는 윤건호 가톨릭의대 교수를 좌장으로 △문석균 대한의사협회 의료정책연구소 실장 △송승재 라이프시맨틱스 대표 △안기종 한국환자단체연합회 대표 △고환경 법무법인 광장 변호사 △고형우 보건복지부 보건의료정책과장이 참여해 쟁점 별 의견을 나눈다.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 '열애설' 제니, 꿀이 뚝뚝 떨어지네…블랙핑크 비하인드 영상공개 - 머니투데이
- "죽여버리고 싶었다"…김지민, ♥김준호와 다툼 회상하다 '분노' - 머니투데이
- '43세' 이효리 난임 고백…2세 원해도 '시험관 시술' 안 하는 이유 - 머니투데이
- 이경진 "과거 치마 들춘 감독에 '나 처녀다' 외쳤다"…무슨 일? - 머니투데이
- '제니와 결별설' 지드래곤, 바꾼 SNS 프사 보니…뷔 저격했나 - 머니투데이
- 김광현, 'WBC 술판' 몰래 벌여놓고…"회식은 8강 후" 거짓 인터뷰
- 8개월새 5억 '폭락'…'영끌족 성지' 노원, 절망만 남아 [부릿지]
- 임희숙, 대마초 파동 연루→파경 악재…극단적 선택 시도한 사연
- 수십번 찌르고 전기톱 훼손…끔찍 범행에도 웃던 '엽기적 그녀'[뉴스속오늘]
- '아옳이와 이혼' 서주원, 식당 홍보 재개…'불륜 장소' 지목된 그곳