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發 종부세 완화..다주택자들 '뒤통수 맞았다' 시끌, 왜?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앵커]
더불어민주당이 다주택자의 종합부동산세 과세 기준액을 1주택자와 마찬가지로 11억원으로 상향 조정하는 내용의 법 개정안을 발의했습니다.
다주택자 종부세 부담을 낮추겠다는 의도인데, 그런데 공정시장가액 비율을 폐지하는 내용도 담아 오히려 종부세 부담이 더 느는 게 아니냐는 지적이 나옵니다.
이한나 기자, 민주당이 종부세 관련 개정안을 내놨죠?
어떤 내용이 담겼나요?
[기자]
네, 지난 20일 민주당이 내놓은 개정안을 보면 다주택자에 대한 종부세 과세 기준을 1가구 1주택자와 마찬가지로 6억원에서 11억원으로 올렸습니다.
민주당은 작은 연립주택과 아파트를 여러 채 가진 사람이 공시가가 더 비싼 똘똘한 강남 아파트 한 채를 가진 사람보다 세 부담이 큰 불합리를 해결하기 위한 조치라고 밝혔습니다.
이어 이 법이 통과되면 다주택 종부세 대상자가 종전 48만6천명에서 25만9천명으로 절반 가량이 줄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앵커]
그런데 이 기자 표면상 내용만 보면 다주택자 종부세를 깎아주는듯 한데, 왜 논란이 되고 있는 거죠?
[기자]
네, 개정안을 내놓으면서 종부세 부담을 깎아주는 공정시장가액비율 제도에 손을 댔기 때문입니다.
종부세는 공시가격에 공정시장가액비율에 맞춰 나온 금액을 기준으로 산정됩니다.
문재인 정부 출범 직후인 2018년 80%였던 공정시장가액비율은 2019년부터 매년 5%포인트 인상돼 올해는 100%를 적용하게 됐습니다.
사실상 공시가격 그대로 적용된다는 의미인데, 현 정부는 이 공정시장가액 비율을 90% 이하로 낮춰, 종부세 부담을 낮추는 것을 검토해오고 있습니다.
그런데 민주당 개정안에는 공정시장가액비율을 시행령에 위임해서 60~100%로 탄력 적용하는 현행 규정을 삭제했습니다.
해당 비율이 올해 100%가 되면서 제도 의미가 없어졌다는 게 이유인데, 이 규정이 삭제되면 현 정부가 검토 중인 공정시장가액 비율 조정을 통한 종부세 부담을 낮추는 것도 어려워집니다.
민주당이 다주택자 뒤통수를 쳤다는 논란이 나오는 이유입니다.
SBS Biz 이한나입니다.
네이버에서 SBS Biz 뉴스 구독하기!
저작권자 SBS미디어넷 & SBS I&M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SBS Medianet & SBS I&M 무단복제-재배포 금지
- [단독] 소상공인 위탁보증 부실률 12배 폭증…2조 더 ‘묻고 더블로’?
- ‘내집 마련의 꿈’ 이룰까?…내년 2030 전용 ‘50년 만기’ 모기지 나온다
- 삼성전자가 바꿨다…‘기혼자 중심’ 복지체계 개편
- 윤석열표 청년주택 통합브랜드 나온다…신혼희망타운 역사 속으로
- 새마을금고도 터졌다…40억 횡령 직원 자수 ‘걸릴까봐’
- ‘늑장대응’ 질타에 코빗 ‘루나’ 상폐…코인원도 상폐 가닥
- ‘서민 기름’ 경유의 배신…“몰면 손해 안 몰면 굶는다”
- 누리호 두 번째 도전…이번엔 실제 위성 탑재
- 변호사·세무사·약사 “예전같지 않아요”…흔들리는 전문직
- 원숭이두창 우려 차단 나선 세계…모더나 “백신 개발 시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