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궁박물관, 조선 궁중 현판 활용한 문화상품 출시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조선시대 궁중 현판을 활용한 문화상품이 출시됐다.
국립고궁박물관과 한국문화재재단이 '조선의 이상을 걸다, 궁중 현판' 특별전 유물을 활용해 문화상품을 제작했다.
한편 국립고궁박물관은 오는 8월15일까지 박물관 기획전시실에서 '조선의 이상을 걸다, 궁중 현판' 특별전을 연다.
조선왕조 궁중현판과 국보 '기사계첩(耆社契帖)', 현재 국가무형문화재 각자장(刻字匠)이 사용하는 작업 도구 등 총 100여점의 전시품을 선보인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서울=뉴시스] 신효령 기자 = 조선시대 궁중 현판을 활용한 문화상품이 출시됐다.
국립고궁박물관과 한국문화재재단이 '조선의 이상을 걸다, 궁중 현판' 특별전 유물을 활용해 문화상품을 제작했다. 휴대폰 손걸이 끈, 고리 장신구, 명찰 목걸이 묶음, 배지 등 총 4종이다.
조선시대 궁중 현판은 글씨나 그림을 나무판 등에 새겨 조선 궁궐 건물에 걸어놓은 유산이다. 현판을 통해 끊임없이 소통하고자 했던 당시 조선 왕실의 모습을 엿볼 수 있다.
문화상품으로 활용한 현판은 순조가 세자 시절에 쓴 글씨인 '천보다복(天保多福) 현판'과 숙종이 쓴 글씨인 '교월여촉(皎月如燭) 현판'이다. 두 현판이 가진 좋은 의미를 디자인 요소로 활용하고, 현판에 새겨진 다양한 무늬를 현대적으로 해석했다.
한편 국립고궁박물관은 오는 8월15일까지 박물관 기획전시실에서 '조선의 이상을 걸다, 궁중 현판' 특별전을 연다. 조선왕조 궁중현판과 국보 '기사계첩(耆社契帖)', 현재 국가무형문화재 각자장(刻字匠)이 사용하는 작업 도구 등 총 100여점의 전시품을 선보인다.
☞공감언론 뉴시스 snow@newsis.com
ⓒ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