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픽! 서귀포] 솔잎보다 작고 희귀한 아기쌍잎난초 꽃 피워

유의주 2022. 5. 25. 09:07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국내에 서식하는 난초 가운데 크기가 가장 작은 아기쌍잎난초의 군락지가 제주도 서귀포시 남원읍 한남시험림에서 확인됐다.

25일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에 따르면 아기쌍잎난초(Neottia japonica (Blume) Szlach.)는 오목한 숲 바닥에서 작은 새싹이 올라온 듯 군락을 이루며, 가는 줄기에 두 장의 작은 잎이 마주하고 줄기 끝에는 짙은 적갈색의 리본을 늘어뜨린 듯한 꽃잎이 핀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제주 난대·아열대산림연구소 연구시험림서 군락지 확인
아기쌍잎난초 [국립산림과학원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서귀포=연합뉴스) 국내에 서식하는 난초 가운데 크기가 가장 작은 아기쌍잎난초의 군락지가 제주도 서귀포시 남원읍 한남시험림에서 확인됐다.

25일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에 따르면 아기쌍잎난초(Neottia japonica (Blume) Szlach.)는 오목한 숲 바닥에서 작은 새싹이 올라온 듯 군락을 이루며, 가는 줄기에 두 장의 작은 잎이 마주하고 줄기 끝에는 짙은 적갈색의 리본을 늘어뜨린 듯한 꽃잎이 핀다.

이번에 확인된 군락지는 한라산 해발 700m 부근으로 난대와 냉온대 기후가 인접한 지역이다.

아기쌍잎난초 [국립산림과학원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침엽수와 상록활엽수가 자라는 혼효림이며, 자생지 면적 100㎡에 100여 개체가 자라 높은 밀도로 분포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아기쌍잎난초는 2013년 국내에서 최초 보고된 이후 개체 수가 극히 적어 분포현황과 자생지에 대한 정보가 매우 부족한 상황이었다. 이번 자생지 확인으로 종의 서식지 특성과 국내 분포현황 연구의 계기가 마련될 것으로 기대된다.

아기쌍잎난초 [국립산림과학원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이상현 국립산림과학원 난대·아열대산림연구소장은 "희귀 난초인 아기쌍잎난초 자생지 보호에 최선을 다할 것"이라며 "제주 내 개체군 분포현황 파악과 현지 내외 복원에 힘쓰겠다"고 밝혔다. (글 = 유의주 기자, 사진 = 국립산림과학원 제공)

yej@yna.co.kr

▶제보는 카톡 okjebo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