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U+, 오픈랜 기반 네트워크 소프트웨어 플랫폼 기술검증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LG유플러스는 개방형 무선 접속망(오픈랜, O-RAN)의 핵심이 되는 소프트웨어 플랫폼 '랜 지능형 컨트롤러'(Radio Access Network Intelligent Controller·RIC)의 기술검증을 했다고 25일 밝혔다.
LG유플러스 설명에 따르면 오픈랜은 기지국 등 무선 통신장비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분리하고 다른 제조사 장비 사이에 상호 연동이 가능하게 해주는 표준기술이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서울=연합뉴스) 임성호 기자 = LG유플러스는 개방형 무선 접속망(오픈랜, O-RAN)의 핵심이 되는 소프트웨어 플랫폼 '랜 지능형 컨트롤러'(Radio Access Network Intelligent Controller·RIC)의 기술검증을 했다고 25일 밝혔다.
LG유플러스 설명에 따르면 오픈랜은 기지국 등 무선 통신장비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분리하고 다른 제조사 장비 사이에 상호 연동이 가능하게 해주는 표준기술이다.
오픈랜의 구성 중 이번에 검증한 RIC는 인공지능(AI)과 머신러닝(ML)을 활용해 무선 접속망 장비의 기능·운영을 자동화하는 것이다.
LG유플러스는 "이 기술이 상용화되면 개별 기지국의 소프트웨어도 원하는 기능만 골라 실행할 수 있다"면서 "휴대전화에 원하는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받아 실행하는 것과 같은 원리"라고 설명했다.
국내에서는 처음인 이번 RIC 기술 검증은 미국 클라우드·네트워킹·보안 솔루션 기업 주니퍼 네트웍스와 협력해 이뤄졌다.
LG유플러스는 "소프트웨어 플랫폼을 기반으로 한 이번 RIC 검증을 통해, 기존의 기지국 장비 제공업체가 아닌 여러 업체가 개발한 애플리케이션으로도 기지국 기능이 정상적으로 동작한다는 것을 실증했다"고 자평했다. 그러면서 "향후 5·6세대 이동통신(5G·6G) 기지국도 소프트웨어를 중심으로 작동할 수 있다는 점도 확인했다"고 덧붙였다.
LG유플러스는 검증 결과에 따라 국내외 다양한 통신장비 관련 기업과 협력을 확대하며 국내 오픈랜 생태계 조성에 나설 계획이라고 밝혔다. 하드웨어뿐 아니라 소프트웨어 측면에도 집중한다는 방침이다.
이상헌 LG유플러스 NW선행개발담당은 "다가올 6G 시대에 오픈랜이 국내 산업에도 미래 먹거리로 자리매김하도록 적극적으로 선행 연구를 진행하겠다"라고 말했다.
sh@yna.co.kr
▶제보는 카톡 okjebo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암 투병 자식 주려고 고기 훔친 엄마'…잇따르는 생계형 범죄 | 연합뉴스
- 김수현 측, 김새론 모친에 "뵙고 싶다…공개 시시비비 부적절" | 연합뉴스
- 이혼 후 전처·아들 피살…"보험금, 전남편·전처부모 공동으로" | 연합뉴스
- 故휘성, 동료·팬 눈물 속 발인…"너의 팬이어서 행복했어" | 연합뉴스
- [샷!] "알림장·일기장도 아동학대라고 학부모가 항의" | 연합뉴스
- "가라는 엄마, 말리는 선배"…의정갈등에 학교 밖 맴도는 의대생 | 연합뉴스
- "인터넷, 한국 천국·북한 지옥" 베네수엘라 언론서 주목 | 연합뉴스
- 살인예고 글 올려 신고된 유튜버, 헌재 주변서 계속 활동 | 연합뉴스
- 폴란드 총리, 귀화 배우에 "007 연기하려면 군사훈련을" | 연합뉴스
- 성범죄 피해 듣고는 "합의하고 10% 달라" 종용한 파렴치 30대 |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