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역대급 투자 나선 대기업.. 정부도 규제철폐로 화답하라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국내 주요 대기업들이 역대급 투자 계획을 내놓았다.
24일 삼성전자는 반도체·바이오·신성장 IT 등 미래 신사업을 중심으로 향후 5년간 450조원을 투자한다고 발표했다.
롯데그룹은 수소·전지소재·바이오 등 국내 신사업에 5년 동안 37조원을, 한화그룹은 에너지·탄소중립·우주항공 등 국내 사업에 37조6000억원을 투자하겠다고 각각 밝혔다.
주요 대기업들이 향후 국내에서 적게는 수십 조원, 많게는 수백 조원 투자를 단행해 경제를 살리고 일자리도 늘리겠다고 한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국내 주요 대기업들이 역대급 투자 계획을 내놓았다. 24일 삼성전자는 반도체·바이오·신성장 IT 등 미래 신사업을 중심으로 향후 5년간 450조원을 투자한다고 발표했다. 450조원의 80%인 360조원은 국내에 투자한다. 이는 삼성전자가 지난 5년간 투자한 330조원 대비 120조원이 늘어난 규모다. 아울러 삼성은 향후 5년간 신규로 8만명을 채용하기로 했다. 현대차그룹도 오는 2025년까지 4년 동안 국내에 63조원을 투자한다고 선언했다. 대규모 투자를 국내에 집중함으로써 한국을 미래 사업의 허브로 삼겠다고 강조했다. 롯데와 한화도 투자 로드맵을 발표했다. 롯데그룹은 수소·전지소재·바이오 등 국내 신사업에 5년 동안 37조원을, 한화그룹은 에너지·탄소중립·우주항공 등 국내 사업에 37조6000억원을 투자하겠다고 각각 밝혔다.
주요 대기업들이 향후 국내에서 적게는 수십 조원, 많게는 수백 조원 투자를 단행해 경제를 살리고 일자리도 늘리겠다고 한다. 한국경제가 장기 불황의 위기에 서 있는 상황이라 대기업들의 투자 계획은 여간 반가운 소식이 아닐 수 없다. 그동안 국내 대기업들의 투자가 주로 해외에 초점을 맞춰왔는데, 이번에 국내로 방향키를 돌린 것은 분명히 '가뭄 속 단비'가 될 것이다. 미래 먹거리 사업에 대한 과감한 투자는 신성장동력을 확보해 장기적으로 국내에 재투자할 수 있는 선순환 구조를 구축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같은 선제 투자는 작금의 경제 위기를 극복하는데 큰 도움이 될 것이다. 협력업체들에게도 '파이'가 돌아가 전체 산업의 성장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 이렇듯 대기업들은 한국 경제 재도약을 위해 승부수를 띄웠다.
문제는 우리의 기업환경이다. 기업들은 곳곳에 도사린 규제 족쇄 탓에 제 역량을 발휘하지 못하고 있다. 한국만의 '갈라파고스 규제'에 발목이 잡혀있는 게 현실이다. 불필요한 규제가 최대 걸림돌인 셈이다. 손바닥도 마주쳐야 소리가 난다. 아무리 대기업이라도 혼자 힘으로는 벅차다.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하다. 이제 정부가 화답해야 한다. 규제 발목을 그냥 두고선 기업 투자는 성공할 수 없다. 위기를 기회로 만들려는 기업들의 역대급 투자에 정부 역시 과감한 규제 혁파로 힘을 실어줘야 할 것이다. 뜸들일 시간이 없다. 규제 혁신을 약속했지만 결국 용두사미로 끝난 역대 정부의 전철을 밟으면 안 된다. 지금이 적기다. 새 정부는 규제 철폐에 착수해 기업들의 투자가 빛을 발하도록 해야 한다.
Copyright © 디지털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한 시대가 갔습니다"…뉴욕 마지막 공중전화 부스 철거
- "여성 목소리에 옷차림도"…`여장 유튜버`에 속은 40대 분노의 폭행
- 또 발달장애 가정 비극…40대 엄마, 6세 아들과 극단 선택
- 지갑 놓고 내린 손님 찾아 50㎞ 운행…감동 준 택시 기사에 감사장
- 1800억원에 팔린 벤츠 레이싱카…최고가 신기록 깼다
- 트럼프시대 불확실성 커지는데…中관영지 "한중일, 경제무역 협력해야"
- AI로 도약하는 SK네트웍스… `의약학 특화 솔루션`에 호텔·차 접목도
- 인구절벽 탈출 `청신호`… 10월 출생아 수 13.4%↑ `14년만 최대 증가율`
- 단통법, 10년만에 폐지… 통신비 부담경감 실효성 `과제`
- 노인 기준 70~75세로?…OECD 1위 `노인 빈곤`은 어쩌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