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가 더 오른다..채소 너는 왜?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앵커]
안 오르는 게 없는 요즘, 채소 가격까지 치솟고 있습니다.
기온이 높아지고 가뭄까지 겹치면서 수확이 부진한 영향인데요.
전방위로 가격이 오르는 가운데 우리 국민들 예상하는 물가 상승치는 10여 년 만에 가장 높았습니다.
임종윤 기자 나왔습니다.
우선 채소 값이 얼마나 뛴 건가요?
[기자]
우선 배추는 10kg 단위 도매가가 9,800원으로 1년 전에 비해 62% 올랐고 무는 53%, 얼갈이 31% 등 김치용 채소를 중심으로 가격이 급등했습니다.
깻잎과 상추도 20~30% 넘게 가격이 뛰었고 북미산 감자도 20kg짜리 도매가격이 6만 원을 넘으면서 1년 전보다 두배 수준으로 뛰었습니다.
[앵커]
갑자기 이렇게 뛴 이유가 뭔가요?
[기자]
우선 극심한 가뭄과 이상고온 현상이 가장 직접적인 이윱니다.
이달 들어 이상고온 현상이 계속되고 비가 평년보다 훨씬 적다 보니 가뭄까지 찾아와 채소류의 작황이 극히 부진한 상황입니다.
기상청도 때 이른 무더위가 이달 말까지 지속된 뒤 본격적인 여름인 7~8월에 들어가서는 밤낮으로 무더위가 잦을 것으로 예보했습니다.
실제 폭염이 길었던 지난 2018년의 경우 잎채소와 여름과일이 화상이나 병충해로 가격이 폭등했던 사례가 있습니다.
[앵커]
우크라이나 사태도 이 같은 채소값 급등에 한몫하고 있다던데요.
왜 그런가요?
[기자]
비료 때문입니다.
전 세계 비료 생산의 28%를 생산하는 러시아와 벨라루스가 우크라이나 사태로 비료 수출을 제한하면서 글로벌 비료값이 급등하고 있는 겁니다.
세계은행에 따르면 글로벌 비료가격은 지난해에만 80%가 뛰었고 올 들어서도 30%나 상승했습니다.
[앵커]
이렇게 되면 앞으로 물가가 더 오를 가능성이 높겠군요?
[기자]
지난달 소비자물가가 5% 가까이 오르면서 금융위기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었는데요.
에너지와 곡물가격에다 채소값까지 오르면서 기대인플레 즉 앞으로 1년 안에 물가가 얼마나 오를 지에 대한 국민들의 기대심리가 3.3%를 기록해 근 10년 만에 최고치로 올라섰습니다.
지금 물가를 끌어올리고 있는 원인들 가운데 어느 하나도 단기간에 해소될 게 없어서 당분간 물가상승세가 더 이어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앵커]
임종윤 기자, 수고했습니다.
네이버에서 SBS Biz 뉴스 구독하기!
저작권자 SBS미디어넷 & SBS I&M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SBS Medianet & SBS I&M 무단복제-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