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은 왜 매운맛에 열광하나..'불닭볶음면' 챌린지도 화제

이미나 2022. 5. 24. 16:09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각종 매체에서 '매운맛의 민족'으로 표현되는 대한민국 국민들.

어느덧 '매운맛'은 한국인을 설명하는 대표 키워드가 됐다.

한국 사회에 화제가 되는 이슈를 PD의 눈을 통해 설명하고 다양한 시각에서 깊이 있게 취재하는 본격 PD리포트  세 번째 이슈는 한국인이 매운맛에 열광하는 이유에 관해서이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각종 매체에서 ‘매운맛의 민족’으로 표현되는 대한민국 국민들. 어느덧 ‘매운맛’은 한국인을 설명하는 대표 키워드가 됐다.

특히 국내에서 오랜 시간 사랑받고 있는 ‘매운(불닭) 볶음면’ 시리즈는 ‘파이어 누들 챌린지’라는 이름으로 해외에서도 폭발적인 인기를 끌었고 지금은 유튜브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는 영상이 됐다. 한국인에도 매운 음식을 수많은 외국인들이 도전하며 또 다른 K-푸드 열풍을 만들어 내고 있는 것이다.

그 열풍을 증명하듯 CNN에서는 해외에서 사랑받는 한국 음식을 선정했는데 그중에는 매운 라면을 비롯해 김치 등이 높은 순위에 포함돼 있었다. 이를 통해 우리는 국내를 넘어 세계에까지 한국의 매운맛이 사랑받고 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국 사회에 화제가 되는 이슈를 PD의 눈을 통해 설명하고 다양한 시각에서 깊이 있게 취재하는 본격 PD리포트 <what is=""> 세 번째 이슈는 한국인이 매운맛에 열광하는 이유에 관해서이다.

2019년 미얀마에서 열린 ‘불닭 빨리먹기 대회’ 모습. 사진=삼양식품 제공

김수민 PD는 한국인의 매운맛이 한국을 넘어 해외에서까지 사랑받는 데는 분명 특별한 이유가 있으리라 생각을 한 반면 박세경 PD는 유행처럼 번진 매운맛에 대해 부정적인 인식이 강했다. 그는 몸에도 나쁜 ‘매운 음식’을사람들이 굳이 찾아 먹는 이유가 이해가지 않는다는 입장이었다.

매운맛에 대한 두 사람의 시각은 달랐지만 ‘한국의 매운맛’에 얽힌 역사와 그 뿌리에 대한 호기심의 크기는 비슷한 듯했다.

‘매운 음식은 정말 건강에 나쁠까?’ ‘음식은 스트레스 해소에 도움이 될까’등 일반적으로 사람들이 당연하다고 생각하지만 명확한 답을 내놓지 못했던 질문에 대해 각 분야의 전문가들가 함께 명쾌한 답을 찾아나간다.

또 우리나라 매운 음식의 역사와 매운맛이 우리 신체에 끼치는 영향 그리고 매운 음식이 식품시장에 등장한 후 판도가 바뀐 국내 유통업계의 이야기까지 ‘매운맛’에 대한 모든 것을 종합적으로 총망라한다.

한국의 토종 매운맛인 김치를 상품화한 ’김치 시즈닝‘으로 미국 아마존 칠리 파우더 카테고리에서 1위에 오른 푸드컬쳐랩 안태양 대표의 성공스토리를 조명하며 세계 속 ’한국의 매운맛‘의 위치를 확인한다.

한국 사회의 다양한 이슈와 상황, 그리고 인물들을 PD의 시각에서 집중 조명하는 본격 PD리포트 <what is="">는 수요일 오후 8시 30분에 방송된다.

이미나 한경닷컴 기자 helper@hankyung.com </what></what>

Copyright © 한국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