金채소 시대..폭염에 배추·무값 급등
오늘(24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는 1년 전보다 4.8% 올랐습니다.
채소류 가격은 배추(7.7%), 상추(6.3%), 시금치(28.5%), 양배추(29.1%), 깻잎(21.7%), 무(15.6%), 열무(58.6%), 오이(14.3%), 토마토(4.8%) 등을 중심으로 가격 오름세가 두드러졌습니다.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 농산물유통정보(KAMIS) 가격동향에서도 채소류 가격은 평년보다 높았습니다. 어제(23일) 소매가격 기준 배추 1포기는 3949원으로 평년(2773원)보다 42.4% 가격이 올랐습니다. 양배추(4910원/1포기)와 시금치(7806원/㎏)는 각각 평년보다 28.9%, 59.5%나 뛰었습니다.
무(2002원/개) 7.7%, 열무(2587원/㎏) 32.3%, 얼갈이배추(2449원/㎏) 30.6% 등도 평년보다 높은 가격대를 보였습니다.
배추, 무 등은 지난해보다 재배면적이 줄고 4~5월 저온현상, 때 이른 무더위와 가뭄이 농작물 생육 부진으로 이어지면서 가격이 오른 것으로 분석됩니다.
농산물 생산량과 가격은 일조량, 강수, 기온 등 기상요인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습니다. 지난 2019년 봄에는 저온현상으로 당근 가격이 올랐고 지난 2018년 7월에는 폭염으로 인해 배추, 무 등 일부 채소 가격이 급등하기도 했습니다.
올해 여름도 평년보다 더울 것으로 전망됨에 따라 농산물 가격 변동성이 커질 가능성이 있습니다.
정부는 최근 농축수산물·가공식품 등 생산자의 부담을 줄여 생활물가 안정을 도모하기 위해 총 3000억 원을 투입하기로 결정했습니다.
아울러 서민의 장바구니 부담을 줄이기 위해 농축수산물 할인쿠폰을 기존 590억 원에서 1190억 원으로 2배 넘게 늘립니다. 1인당 할인받을 수 있는 금액은 1만 원으로 최대 20%까지 가능합니다.
CopyrightsⓒJTBC, All Rights Reserved.
- 전두환 아들 와인이 만찬에? 윤건영 "준비 부족, 섬세히 접근했어야"
- 박지현 대국민 호소 "염치없지만, 한 번만 더 부탁드린다…믿어달라"
- WHO "원숭이두창 억제 가능"…"대규모 파티서 퍼진 듯"
- 여경 팔굽혀펴기도 '정자세'…경찰 체력시험 기준 상향
- 손흥민 '득점왕'에 中대사관 "아시아 자랑"…축하글 두번 올려
- 일본 초등 교과서에 "독도는 고유 영토…한국이 불법 점거"
- 윤 대통령, 저출산위 첫 주재 "과감한 대책을"…5대 과제 발표
- '부산EXPO' 북항 재개발 입찰 담합 의혹…공정위, 롯데건설 조사나섰다
- [밀착카메라] "빨아도 시커먼 물"…한국타이어 화재 후 '검은 흔적들'
- 전우원, 마약 투약 혐의로 공항서 체포…"저는 죄인, 사과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