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전, 최악 적자에 '전력구매가격 상한제' 도입..전기료 영향은?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앵커]
한국전력공사가 발전사에서 전력을 사 올 때 적용하는 전력도매가격에 상한을 두는 방안이 추진될 방침입니다.
한전이 올해 1분기에 역대 최대 적자를 기록한 데에 따른 정부의 조치로 풀이되는데요.
박연신 기자, 정부가 추진하는 '전력구매가격 상한제'는 어떤 제도인가요?
[기자]
현재 한국전력은 발전사들로부터 전력을 산 후, 소비자에게 판매 중인데요.
전력도매가격, 일명 SMP를 기준으로 삼아 전력을 구매하고 있습니다.
전력구매가격 상한제란, 이 SMP가 급격히 오를 때 한시적으로 가격 상승을 제한하는 제도인데요.
직전 3개월 간의 SMP 평균이 과거 10년간 월평균 값의 상위 10%에 해당할 때 1개월간 상한제를 적용하겠다는 겁니다.
상한 가격은 평시 수준인 10년 가중평균 SMP의 1.25배 수준으로 정했습니다.
정부는 이번 상한제 도입으로 발전 사업자의 과도한 부담을 고려해 연료비가 상한가보다 더 높은 경우 실제 연료비를 보상해주고, 그 외 용량요금과 기타 정산금은 제한 없이 지급하기로 했습니다.
결과적으로 한전의 전력 구매 비용이 줄어들면서 전기 소비자 부담은 지금보다 완화될 것으로 보입니다.
[앵커]
그렇다면 정부는 왜 이런 제도를 도입하게 된 건가요?
[기자]
코로나19와 우크라이나 사태 등으로 국제 연료가격이 급등하면서 국내 SMP 가격이 상승해 전기 소비자들의 부담이 늘어날 것을 대비한 건데요.
실제 지난달 평균 전력시장가격은 킬로와트시(㎾h)당 202.11원으로, 지난 2001년 전력시장 개설 이후 처음 200원 선을 돌파하며 역대 최고를 기록했습니다.
지난해 같은 달(76.35원)보다 2.6배나 급등한 건데요.
여기에 한전이 올해 1분기에 약 8조 원의 역대 최대 적자를 보이면서 한전의 전력 구매비용 부담을 줄여주기 위한 조치로 분석됩니다.
해당 제도는 20일 간 행정예고를 거친 뒤 오는 7월부터 시행될 전망입니다.
SBS Biz 박연신입니다.
네이버에서 SBS Biz 뉴스 구독하기!
저작권자 SBS미디어넷 & SBS I&M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SBS Medianet & SBS I&M 무단복제-재배포 금지
- 박지현 “염치없지만 딱 한 번만 더 기회를 달라”
- 분양가 높이고, 분상제 실거주 의무도 푼다
- [단독] 식중독균 쥐치포 이마트·쓱닷컴서 팔렸었네…“환불조치”
- 천연두 백신 ‘원숭이두창 효능’ 임상착수…“결과는 시간걸려”
- 한전, 최악 적자에 ‘전력구매가격 상한제’ 도입…전기료 영향은?
- 삼성물산 부동산개발협회 가입…시공보다 개발?
- 농심, ‘식중독 우려’ 지프 땅콩버터 회수…늑장 대응 논란
- 숨 가쁘게 오른 물가 더 오른다고?…기대인플레 약 10년 만에 최고
- 태광 이호진, 대주주 적격성 ‘불충족’…그래도 입김은 여전할 듯
- “손해없이 서비스해 드립니다”…폐업한 상조회사 고객 대상 불법 영업 ‘기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