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주 15시간 미만 초단기 근로자 154만명 '역대 최대'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지난달 근로시간이 주 15시간에 못 미치는 초단기 근로자가 150만 명을 넘어 역대 최대치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일시 휴직자까지 포함하면 전체 취업자 가운데 주 15시간 미만 근로자는 200만 명에 육박했습니다.
오늘(24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달 취업자 가운데 주당 근로시간이 1~14시간인 초단기 근로자는 154만 명으로 1년 전보다 3만 명 증가했습니다. 관련 통계 작성이 시작된 지난 2000년 1월 이후 같은 달 기준 가장 많은 수치입니다.
이른바 '질 좋은 일자리'가 아닌 일시적으로 불안정한 일자리가 지난달 취업자 가운데 상당수 차지했다는 이야기입니다.
근로기준법 등에 따르면 1주일 소정 근로시간이 15시간 미만인 근로자에게는 유급휴일과 유급휴가가 보장되지 않고, 퇴직급여도 지급되지 않습니다.
연령별로는 60세 이상이 76만 3000명으로 전체 초단기 근로자의 절반(49.5%)에 달했습니다. 15~29세 청년층 초단기 근로자는 35만 2000명(22.9%)으로 뒤를 이었습니다.
통계상 취업자로 분류되지만 일시적인 병이나 휴가, 일기 불순, 노동 쟁의, 사업 부진, 조업 중단 등 이유로 일을 쉬고 있는 일시휴직자까지 포함하면 지난달 주당 근로시간이 15시간 미만인 경우는 199만 7000명으로 집계됐습니다.
이처럼 고령층을 중심으로 초단시간 근로자가 늘어난 데는 직접 일자리 등 공공부문 취업자가 증가한 것이 영향을 준 것으로 보입니다.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공공부문 비중이 높은 공공행정과 보건복지업 취업자는 지난달 32만 명 증가해 전체 취업자 증가분의 37%를 차지했습니다. 이와 함께 인구가 급격히 늘고 있는 60세 이상 고령층 취업자가 42만 4000명 증가해 취업자 증가세를 주도했습니다.
지난달 취업자 수 자체는 1년 전보다 86만 5000명 늘면서 4월 기준 22년 만에 최대 증가폭을 기록했지만, 일자리의 질적인 면은 여전히 회복되지 못한 상태입니다.
네이버에서 SBS Biz 뉴스 구독하기!
저작권자 SBS미디어넷 & SBS I&M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SBS Medianet & SBS I&M 무단복제-재배포 금지
- 55억 달러 투자하면서 17억 달러 돌려받아…현대차그룹, 美 조지아에서 2조 인센티브 챙긴다
- IMF 총재, 루나 사태에 “피라미드 사기”…구겐하임 “코인 대부분 쓰레기” [장가희 기자의 뉴
- "경제, 30년 세계화 시대 끝"...IMF "2차 세계대전 이후 가장 큰 시험대" - SBS Biz
- 의사·간호사 서로 파업하겠다는 ‘간호법’…본질은 이것
- 스타벅스, 15년 만에 러시아 사업 접는다
- 美 주도 ‘중국 견제’ IPEF 공식 출범…한국 등 13개국 동참
- 정호영 자진사퇴…尹정부 장관후보자 두번째 낙마
- ‘물가 더 오른다’…기대인플레 3.3%, 9년7개월래 최고
- 분상제 개편안 다음달 발표…하반기 분양가 더 오른다
- 버냉키 “연준, 인플레 낮추는 데 성공할 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