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부암동3/진경호 수석논설위원

진경호 2022. 5. 24. 05:08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대형마트도 없고, 변변한 학원도 없고, 빵빵한 집도 없고 그래서 땅 투기도 없는 곳. 그래서 좋지 않으냐 묻는 바람이 담쟁이덩굴을 간질이곤 도롱뇽 물질하는 백사실 계곡으로 미끄럼 타는 곳. 공영주차장 없어도 좋으니 그냥 이대로 살게 내버려 달라며 구청에 하소연하는 주민들이 사는, 그냥 그곳.'

13년 전 부암동으로 이사 간 다음날 이 자리에 쓴 글 말미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길섶에서

‘대형마트도 없고, 변변한 학원도 없고, 빵빵한 집도 없고 그래서 땅 투기도 없는 곳. 그래서 좋지 않으냐 묻는 바람이 담쟁이덩굴을 간질이곤 도롱뇽 물질하는 백사실 계곡으로 미끄럼 타는 곳. 공영주차장 없어도 좋으니 그냥 이대로 살게 내버려 달라며 구청에 하소연하는 주민들이 사는, 그냥 그곳.’

13년 전 부암동으로 이사 간 다음날 이 자리에 쓴 글 말미다. 소설가 엄흥섭이 서울 바닥에선 만금을 주고도 사지 못할 양미만괴(凉味萬魁·더할 나위 없이 시원하고 서늘해 좋음)라 했던, 마루 끝 처마 그늘에 던져진 달빛 같은 북악산 자락의 이 부암동이 몰려드는 인파에 몸살을 앓는다. 청와대가 열리고, 청와대를 품은 북악산이 열리면서 덩달아 부암동도 열리는 모양이다.

‘이 많은 별빛이 내린 언덕 위에/내 이름자를 써 보고/흙으로 덮어 버렸습니다.’ 윤동주가 ‘별 헤는 밤’에 담은 부암동 언덕이 더는 수줍을 틈이 없어 보인다. 서울 도심 아무도 모르라는 이 비밀정원은 이제 어쩌란 말인가.

진경호 수석논설위원

▶ 밀리터리 인사이드 - 저작권자 ⓒ 서울신문사 -

Copyright © 서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