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 "특정국가 배제 말라" 반발..수출통제 등 불똥 우려
이어서 베이징으로 가보겠습니다. 새로운 경제체제를 출범시킨 데 대해 "노골적인 중국 배제"라고 반발하고 있습니다. 중국의 반응과 앞으로 예상되는 우려를 들어보겠습니다.
박성훈 베이징 특파원이 연결돼 있습니다. 박 특파원, 일단 중국의 공식 입장부터 들어볼까요?
[기자]
IPEF에 인도와 동남아 국가까지 포함한 13개 국가가 동참하면서 중국이 불편한 속내를 감추지 않고 있습니다.
왕이 중국 외교부장의 발언이 주목되는데요.
왕 부장은 "미국이 지역 경제 패권을 지키기 위해 특정 국가를 의도적으로 배제한다면 잘못된 길이 될 것"이라며 "기술을 봉쇄하고 세계 공급망 위기를 악화시키지 말라"고 경고하고 나섰습니다.
[앵커]
'기술 봉쇄'라는 표현까지 썼군요. 중국도 가만히 있진 않겠죠?
[기자]
네, 특히 반도체와 배터리 등의 핵심 분야에서 중국을 배제한 공급망 구축 움직임이 있다고 보고 반발하는 건데요.
향후 자국 주도의 아태지역경제협력체인 역내 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 즉 RCEP 국가와의 협력을 강화하고 신흥 경제국으로 구성된 브릭스 확대에 나선 것도 미국에 대응하려는 것이라는 분석입니다.
[앵커]
가장 큰 걱정은 우리나라로 불똥이 튀느냐 여부입니다. 어떻게 예상이 됩니까?
[기자]
아직은 중국 정부가 우리나라를 지목해 언급한 대목은 없습니다.
하지만 과거 사드 사태 때 중국 정부는 제재가 없다고 밝혔지만, 실제로 사드 부지를 양도한 롯데가 철수했었죠.
또 중국에서 한류 콘텐츠 방영이 중단돼 수출 피해도 컸습니다.
우리나라에 대해서도 지난해 요소수 사태에서 보듯 중국 의존도가 큰 원자재에 대한 수출 통제 카드를 쓰지 않을지 우려도 나오고 있습니다.
[앵커]
경제뿐만 아니라 안보도 우려되는 점이 있습니다. '핵에는 핵으로 대응한다'는 취지의 메시지가 한·미 공동성명에 처음으로 들어갔는데, 중국은 어떤 입장입니까?
[기자]
중국 전문가들은 이같은 조치가 한반도 위기를 더욱 악화시킬 뿐이라고 경고하고 나섰습니다.
중국은 한·미 연합방위 강화에 북한이 더 민감하게 반응할 것이라고 봤습니다.
그 결과 한미가 주장하는 것처럼 북한의 도발이 억제되는 게 아니라 도발을 더 초래하는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고 중국은 주장하고 있습니다.
CopyrightsⓒJTBC, All Rights Reserved.
- 회담 뒤 '성평등' 질문한 WP…"윤 대통령, 답하느라 곤혹"
- 공 잡으면 손흥민부터 찾았다…팀 동료 '모두의 결실'
- '막대기 살인' 스포츠센터 대표에 무기징역 구형…피고인 측 "심신미약 상황에서 벌인 일"
- 손흥민 '득점왕' 그후, 쏟아진 찬사들…"자랑스러운 나의 형제"
- '5호' 김가람… 어머니도 수긍하게 한 딸 욕설 수위 '뭘까'
- "중국에 굴욕" "협력으로 풀어야"…'베팅' 발언 두고 여야도 공방
- '6·10 항쟁 기념식' 정부 측 첫 불참…'대통령 퇴진 후원' 때문
- 노동단체 문화제 또 강제 해산…경찰 "사실상 미신고 불법 집회"
- 반복되는 에스컬레이터 사고…"눈으로만 쓱" 검사체계 빈틈이 문제
- [백브리핑] 동창도 못 알아본 증명사진? '머그샷' 왜 공개 못 하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