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악관 동행취재 기자들 "한미 정상, 원하는 것 얻은 듯"

류지복 2022. 5. 23. 18:15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의 한일 순방을 동행 취재하는 백악관 기자들 양국 정상이 각자 원하는 바를 얻었다고 평가했다.

이어 "바이든 대통령은 이와 관련해 듣고 싶은 말을 윤석열 대통령에게서 들었다고 본다"며 "윤 대통령 역시 한미동맹을 중시해온 터라 두 사람의 만남이 편안해 보였다"고 평가했다.

첫 정상회담 무대에 오른 윤 대통령에 대해 펄론 기자는 "그가 한미동맹에 매우 진지하다는 느낌이 들었다"고 말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소인수 정상회담하는 한미 정상 (서울=연합뉴스) 서명곤 기자 = 윤석열 대통령과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21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 집무실에서 열린 소인수 정상회담에서 악수하고 있다. 2022.5.23

(도쿄=연합뉴스) 류지복 특파원 =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의 한일 순방을 동행 취재하는 백악관 기자들 양국 정상이 각자 원하는 바를 얻었다고 평가했다.

미국 CBS방송의 엘리자베스 팔머 기자는 23일 도쿄의 한 호텔에 설치된 프레스센터에서 연합뉴스 기자와 만나 "두 정상의 '케미스트리'가 잘 맞는다는 느낌을 받았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바이든 대통령은 한미동맹을 군사뿐만 아니라 경제 측면에서도 더욱 강화하고자 했다"며 "공급망 문제가 대표적인데 삼성전자 반도체 공장을 방문한 게 그 사례 아닌가 싶다"고 언급했다.

이어 "바이든 대통령은 이와 관련해 듣고 싶은 말을 윤석열 대통령에게서 들었다고 본다"며 "윤 대통령 역시 한미동맹을 중시해온 터라 두 사람의 만남이 편안해 보였다"고 평가했다.

다만 한미가 북한의 핵·미사일 개발에 대응해 억지력 강화 의지를 밝혔지만 북한의 비핵화 진전에 미칠 영향에 대해서는 속단하지 않았다.

팔머 기자는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은 계속 무기를 개발하고 있다"며 "이번 회담 이후 김 위원장이 생각을 바꿔 협상장에 나올지는 미지수여서 지켜봐야 할 것 같다" 말했다.

영국 매체의 한 기자는 "두 정상이 좋은 대화를 나눴다"며 "서로 원하는 것을 얻었고 이것이 정상 성명에 반영되는 성과를 냈다"고 평가했다.

또 "윤 대통령은 북한 문제에서 확장 억지력 강화, 연합훈련 확대 등 그간 미국에 희망한 것을 이뤄냈다"며 "바이든 대통령 역시 중국 견제를 위해 경제 부분에서 한국의 협력을 끌어낸 것 같다"고 말했다.

항공우주작전본부 방문한 한미 정상 (평택=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과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22일 오후 오산 미 공군기지의 항공우주작전본부(KAOC)를 함께 방문, 장병들을 격려하고 있다. 2022.5.23 [대통령실 제공. 재판매 및 DB금지]

일본 후지TV의 프랭크 펄론 기자는 한일 관계 개선에 관한 윤 대통령의 의지를 확인한 기회였다는 데 의미를 부여했다.

그는 "두 정상이 한일관계 개선을 강조한 데 주목한다"며 "한미일 3국은 북한, 중국, 러시아 대응을 위해 함께 협력해야 하는 국가"라고 말했다.

이어 "한국에 동맹은 매우 중요한데 미국뿐만 아니라 일본과 관계도 비중이 크다"며 "한미 양국 정상의 만남이 3국 동맹의 장래를 밝게 만들었다"고 호평했다.

한 일본 언론사의 기자는 바이든 대통령이 한국을 먼저 방문한 데 대해 일본 정부에서 불편하게 생각하는 기류도 있다면서 혹시 무슨 이유로 한국을 먼저 찾았는지 되묻기도 했다.

첫 정상회담 무대에 오른 윤 대통령에 대해 펄론 기자는 "그가 한미동맹에 매우 진지하다는 느낌이 들었다"고 말했다.

팔머 기자는 "윤 대통령은 검사로 지내다 대통령이 된 것으로 알고 있다"며 "정치적으로 새로운 인물이어서 지금 어떤 평가를 하긴 힘들고 지켜봐야 할 것 같다"고 언급했다.

jbryoo@yna.co.kr

▶제보는 카톡 okjebo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