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 임금인상률 4년 만에 '최고'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일본 주요 기업들의 올해 임금인상률이 4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23일 니혼게이자이신문에 따르면 일본 내 311개 주요 기업의 올해 평균 임금인상률은 2.28%로 2018년 이후 가장 높았다.
일본 대기업을 중심으로 임금이 크게 오른 것은 세계 경제가 코로나19 충격에서 회복하면서 기업의 실적이 급격히 좋아졌기 때문이라고 니혼게이자이는 분석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일본 주요 기업들의 올해 임금인상률이 4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23일 니혼게이자이신문에 따르면 일본 내 311개 주요 기업의 올해 평균 임금인상률은 2.28%로 2018년 이후 가장 높았다.
지난해 상승률보다 0.48%포인트 증가했다. 25개 업종 가운데 22개 업종의 임금인상률이 지난해 수준을 웃돌았다. 근로자 수가 가장 많은 제조업의 임금인상률은 2.27%로 지난해 대비 0.34%포인트 올랐다. 반도체 장비업체인 도쿄일렉트론과 농기계 전문업체 구보타의 임금인상률은 4%와 3.71%로 작년보다 1%포인트 이상 증가했다.
일본 대기업을 중심으로 임금이 크게 오른 것은 세계 경제가 코로나19 충격에서 회복하면서 기업의 실적이 급격히 좋아졌기 때문이라고 니혼게이자이는 분석했다.
도쿄증시 프라임시장 상장사의 절반이 넘는 1100곳의 지난해 순이익도 4년 만의 최고치를 기록했다. 2021년 4분기 프라임시장 상장사들의 총자산이익률(ROA)은 4.9%로 코로나19가 세계적으로 확산하기 직전인 2019년 수준을 회복했다.
일손 부족으로 인재 쟁탈전이 벌어지는 일본에서 인재 이탈을 막기 위해 임금을 크게 올렸다는 기업도 많았다. 화학과 자동차, 자동차 부품기업 등을 중심으로 조사 대상의 24%가 “인력 부족을 고려해 임금인상률을 결정했다”고 답했다. 전자업계를 중심으로 “정부의 임금인상 요청을 고려했다”는 응답도 21.8%에 달했다.
다만 임금이 4년 만에 가장 많이 올랐어도 물가가 상승했기 때문에 소비가 확 늘어나기는 힘들 것이라는 관측이 많다. 일본의 4월 소비자물가지수(CPI)는 지난해 동기 대비 2.1% 올랐다. 물가상승률이 2%를 넘은 것은 7년1개월 만이다.
신케 요시키 다이이치생명경제연구소 수석이코노미스트는 “물가 상승이 가계에 미치는 영향이 크기 때문에 임금이 인상됐다고 소비가 늘어날 것으로 기대하기는 어렵다”고 말했다.
도쿄=정영효 특파원 hugh@hankyung.com
▶ 경제지 네이버 구독 첫 400만, 한국경제 받아보세요
▶ 한국경제신문과 WSJ, 모바일한경으로 보세요
Copyright © 한국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주식·코인보다 낫네"…직장인들이 月 800만원씩 버는 방법
- "재택근무 받고 연봉 1억 더"…요즘 특급 대우 받는 직업
- 1000만원 넘게 주고 샀는데…샤넬백, AS 맡겼다가 '황당'
- "입혀보면 다르다"…요즘 젊은 부모들 사이서 난리 난 브랜드
- 티몬 前 의장이 세운 스타트업, 1년 만에 400억 '잭팟' [김종우의 VC투자노트]
- 김지민 "김준호, 돈 때문이면 안 만나"
- 먹으면서 살 뺀다…신민아 명품 몸매의 비결 [건강!톡]
- '316억 매출' 이지영, 성추행 피해 고백 "회식서 엉덩이 만져"
- 전소미, 상상초월 롱다리+개미 허리…바비인형의 인간화
- BTS 뷔·블랙핑크 제니 열애설…빅히트·YG 입장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