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연금 수급자 2년새 100만명 ↑..연금재정 '펑크' 빨라지나

곽용희 2022. 5. 23. 17:3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국민연금 수급자가 2년 만에 100만 명 늘어나며 600만 명을 돌파했다.

국민연금공단은 23일 국민연금 수급자가 600만 명을 넘었다고 밝혔다.

국민연금 수급자는 2004년 100만 명을 돌파한 뒤 2009년 200만 명, 2011년 300만 명, 2016년 400만 명, 2020년 4월 500만 명을 넘었다.

국회예산정책처는 국민연금 수급자가 2030년에 874만 명, 2040년 1290만 명, 2050년 1601만 명, 2060년 1689만 명에 이를 것으로 예상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수급자 600만명 돌파
연금 수급자 가파른 증가세
400만→500만명 3년반 걸렸는데
600만명까지는 2년1개월로 줄어
지급액도 늘어 매월 2.6조 달해
'더 내고 덜 받는' 개혁 불가피
재정수지 2041년이면 적자전환
보험료율은 24년째 9%로 동결
전문가 "12%대로 올려야 적정"

국민연금 수급자가 2년 만에 100만 명 늘어나며 600만 명을 돌파했다. 수급자가 300만 명에서 400만 명으로 느는 데 4년8개월, 400만 명에서 500만 명을 넘는 데 3년6개월이 걸린 것과 비교해 증가세가 빨라지고 있다. 이에 따라 윤석열 정부가 ‘더 내고 덜 받는 방식’으로 국민연금 개혁을 서두르지 않으면 국민연금 적립금 고갈 시점이 당초 예상(2055년)보다 빨라질 것이라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국민연금 매달 2조6000억원 지급

국민연금공단은 23일 국민연금 수급자가 600만 명을 넘었다고 밝혔다. 1988년 국민연금이 도입된 지 34년 만이다. 전 국민 중 국민연금 수급자는 11.6%다. 국민연금 수급자는 2004년 100만 명을 돌파한 뒤 2009년 200만 명, 2011년 300만 명, 2016년 400만 명, 2020년 4월 500만 명을 넘었다. 수급자가 100만 명 늘어나는 기간이 갈수록 짧아지는 추세다. 공단 측은 최근 수급자 증가 속도가 빨라진 데 대해 “베이비붐 세대의 은퇴 영향이 크다”고 설명했다.

인구 고령화로 수급자는 계속 늘어날 전망이다. 국회예산정책처는 국민연금 수급자가 2030년에 874만 명, 2040년 1290만 명, 2050년 1601만 명, 2060년 1689만 명에 이를 것으로 예상했다.

연금 지급액도 가파르게 늘고 있다. 공단은 2022년 3월 기준으로 매월 2조6000억원을 592만 명의 수급자에게 지급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런 추세가 이어지면 올해 연금 지급액은 30조원을 넘어설 것으로 추정된다. 연금 지급액이 2015년 15조2000억원, 2018년 20조7000억원으로 늘고 2020년에 25조원대로 올라선 걸 감안하면 상당히 빠른 속도다.

월 100만원 이상 수급자도 올해 3월 기준 48만7000여 명으로 2020년 4월 29만5000여 명에 비해 19만 명(65%) 증가했다.

 ‘재정 펑크’ 빨라지나

국민연금 수급자가 증가하면서 연금 고갈 속도가 빨라질 수 있다는 위기감도 커지고 있다. 국회예산정책처는 국민연금 적립금이 2020년 740조원에서 2030년 1027조7000억원으로 늘어나겠지만 2040년 1019조9000억원으로, 2050년 416조4000억원으로 줄어드는 데 이어 2055년에는 아예 고갈될 것으로 예상했다. 국민연금 재정수지(연금 지급액-연금 수입액)는 2030년 30조1000억원 흑자에서 2040년에 14조1000억원 적자로 바뀌고 이후 적자폭이 계속 커질 것으로 내다봤다.

기획재정부도 ‘2020~2060년 장기재정전망’에서 국민연금이 2041년이면 적자 전환할 것으로 전망했다.

국민연금 ‘재정 펑크’를 막기 위해선 ‘더 내고 덜 받는’ 방식으로의 연금개혁이 불가피한 게 현실이다. 문재인 정부는 연금개혁을 방치했다. 국민연금 보험료율은 1998년 9%로 정해진 뒤 현재까지 동결돼 있다.

윤석열 정부는 정부 출범 전 대통령직인수위원회 발표를 통해 국민적 합의를 거쳐 국민연금을 개혁하겠다고 밝혔다. 안철수 당시 인수위원장은 “국민이 평생 국민연금을 내도 2055년부터는 국가가 지급할 돈이 없다”고 했다.

문제는 국민적 합의를 이끌어낼 수 있느냐다. 국민연금의 소득대체율을 현재 수준(40%)으로 유지할 경우 적정 보험료율은 12%대라는 게 전문가들의 진단이다. 지금보다 보험료율을 3%포인트 더 올려야 한다는 얘기다. 윤석명 전 한국연금학회장은 “임금 구조와 경제 여건까지 악화된 상태에서 적기에 연금개혁을 하지 못하면 걷잡을 수 없는 상황이 올 것”이라며 “새 정부가 국민연금 의사결정기구부터 전문성 있는 인사들로 채워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곽용희 기자 kyh@hankyung.com

경제지 네이버 구독 첫 400만, 한국경제 받아보세요
한국경제신문과 WSJ, 모바일한경으로 보세요

Copyright © 한국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