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희정의 아시아의 美] '귀거래사' 국화꽃 향기 바람에 날리고/서강대 동아연구소 교수

입력 2022. 5. 23. 05:08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지방선거가 코앞이다.

본인의 고향이나 마음의 고향, 혹은 어떤 식으로든 자신의 연고지에 깃발을 꽂으려는 사람들이 많다.

관직을 벗고 고향으로 돌아가는 마음을 담은 유명한 중국의 시로 도연명(陶淵明ㆍ365~427)의 '귀거래사'(歸去來辭)를 들 수 있다.

그가 귀향하는 심경과 고향에 이른 기쁨, 고향에서의 생활, 자연의 섭리에 순응하는 마음까지 초사체(楚辭體) 형식으로 노래한 것이 '귀거래사'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강희정 서강대 동아연구소 교수

지방선거가 코앞이다. 본인의 고향이나 마음의 고향, 혹은 어떤 식으로든 자신의 연고지에 깃발을 꽂으려는 사람들이 많다. 선거 결과가 뜻대로 되지 않더라도 그 고향으로 돌아갈 것인가? 마음의 고향이니 마음에 담았다고 할 것인가?

관직을 벗고 고향으로 돌아가는 마음을 담은 유명한 중국의 시로 도연명(陶淵明ㆍ365~427)의 ‘귀거래사’(歸去來辭)를 들 수 있다. 도연명은 41세 되던 해 관직을 사직하고 은둔의 길을 택했다. 그가 귀향하는 심경과 고향에 이른 기쁨, 고향에서의 생활, 자연의 섭리에 순응하는 마음까지 초사체(楚辭體) 형식으로 노래한 것이 ‘귀거래사’다. 시는 당시 유행했던 노장사상을 바탕으로 그가 입신양명이 아니라 전원에서 즐기는 자유와 평안, 관료 사회에 대한 염증을 잘 표현했다.

‘귀거래사’ 중 한 장면이 진홍수(陳洪綬ㆍ1598~1652)의 다음 그림이다. 도연명의 시대보다 약 1200년 뒤에 살았던 진홍수지만 그의 그림은 도연명의 심정을 적절하게 드러냈다. 명나라 말에 절강성에서 태어난 진홍수는 과거에 여러 번 실패하고, 1645년에야 간신히 하급 관직에 올랐으나 명이 멸망하는 바람에 바로 승려가 돼 유민(流民)의 길을 갔다. 관직에 오르려는 그의 오랜 꿈은 이루지 못했지만 다행히 화가로서는 대성했다.

그림이라면 ‘남쪽에 진홍수, 북쪽에 최자충’이란 말을 들을 만큼 명성을 떨쳤으니 진홍수가 성공한 화가임은 분명하다. 인물화, 산수화, 화조화 등 모든 분야에서 뛰어난 기량을 발휘했지만 당시 비약적으로 발달한 판화나 인쇄물 삽화를 잘 그린 것으로도 유명하다. 그가 밑그림을 그린 박고패(博古牌), 수호엽자(水滸葉子), 서상기(西廂記) 등은 특히 인기를 끌었다. 수호엽자는 ‘수호전’의 영웅 108명 중에 40명을 뽑아 카드 게임용 패(牌)를 판화로 만든 것이다. 그의 화법은 이공린과 조맹부의 필법을 살렸다는 평을 들었는데, 그의 필선이 가늘고 섬세하며 붓과 먹의 굵기에 변화가 없기 때문이었다.

옛 고사나 인물을 즐겨 그린 진홍수가 그린 ‘귀거래사’ 역시 ‘옛 뜻’(고의·古意)을 살렸다는 후세의 평가를 여실히 드러낼 만큼 힘 있는 필선이 깔끔하다. ‘귀거래사’를 그대로 묘사한 긴 두루마리 그림 중의 일부인 여기서 도연명은 기괴한 바위 위에 앉아 오현금을 무릎 위에 올려놓고 국화 향기를 맡고 있다. 국화를 좋아했던 인물이었으니 그의 발아래 놓인 그릇에는 국화주가 그득했을 것이다.

술과 음악, 꽃향기에 취한 도연명이 이렇게 생겼는지는 알 수 없다. 인물은 있어도 아무 배경도 묘사되지 않았으니 이를 초상화나 인물화의 범주에 넣을 수는 없다. 진홍수는 자신의 처지를 도연명에 투영해 무위자연을 즐기는 것처럼 그린 듯하다.

자신의 삶이 굴곡졌던 까닭인지 그의 그림 속 인물들은 상당히 시니컬해 보이는 게 특징이다. 냉소적이지만 속세를 떠난 초탈한 모습이 그럴싸해 보이기도 한다. 도연명과 진홍수의 삶이 그리 나빠 보이지 않는 건 그림이 인상적이기 때문인지 모른다.

▶ 밀리터리 인사이드 - 저작권자 ⓒ 서울신문사 -

Copyright© 서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