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서 SNS 검열에 대항한 반격 'NFT 새 사용법'

김혜리 기자 2022. 5. 22. 22:03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상하이 코로나 봉쇄 비판 '4월의 목소리' 영구 보존

[경향신문]

코로나19 대유행으로 인터넷 검열이 더 심해진 중국에서 대체불가토큰(NFT)이 새로운 저항수단으로 떠올랐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21일(현지시간) 중국에서 NFT가 디지털 예술에 대한 투자가 아니라 검열에 반격하기 위한 수단으로 주목받고 있다고 보도했다.

코로나19에 대한 부정적인 여론을 통제하기 위해 당국이 온라인 게시물 검열 수위를 높이자, 그림이나 영상 등의 디지털 파일을 블록체인에 등록해 영구 보존하는 사람들이 늘어났다는 것이다. 대표적인 사례가 ‘4월의 목소리’다. 장기 봉쇄로 절규하는 상하이 주민들의 목소리를 담은 이 6분짜리 영상은 지난 4월22일 중국 사회관계망서비스(SNS) 위챗에 게재된 후 2시간 만에 10만건 넘게 공유될 정도로 빠르게 퍼져나갔다.

하지만 영상은 당일 갑자기 삭제됐고, 웨이보나 바이두 등 다른 SNS에서도 찾아볼 수 없게 됐다. 당국의 검열이 작동한 것 아니냐는 의혹이 일었다.

이에 일부 누리꾼들은 당국이 손댈 수 없는 블록체인을 이용해 ‘4월의 목소리’를 보호하는 방법을 택했다. 22일 기준 세계 최대 NFT 거래소 ‘오픈시(OpenSea)’에 ‘4월의 목소리’를 검색하면 NFT 248건이 검색된다. 이 중 대부분은 무료이거나 매우 낮은 가격에 등록돼 있다.

‘4월의 목소리’를 포함해 상하이 봉쇄와 관련된 수십개의 NFT를 올린 상하이 소재 기술회사의 사내 변호사 데렉 이는 “우리의 시련은 기억돼야 한다. 우리가 경험한 굶주림, 절망, 부조리를 기억하는 것 외에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이 없다”면서 기억을 보존하기 위해 NFT에 가격표를 붙이지 않았다고 WSJ에 말했다.

코로나19와 관련된 검열에 맞서기 위해 블록체인 기술이 활용된 것은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중국에서 코로나19의 위험성을 처음 경고해 당국의 질책을 받았던 리원량 의사가 사망했을 때도 비슷한 시도가 이루어졌다. 리원량이 생전 쓰던 웨이보 계정에 남겨진 수십만개의 추모글 등 그를 기억할 만한 흔적을 시각화해 블록체인에 남기려 한 것이다.

검열을 피해 블록체인으로 눈을 돌리는 콘텐츠 제작자도 늘고 있다. 블록체인 기반 중국어 퍼블리싱 플랫폼인 ‘매터스뉴스’의 공동창립자 구오 리우는 플랫폼이 중국에서 차단돼 있음에도 불구하고 2018년 이후 이용자 10만명을 모았다고 밝혔다.

2017년에 창립된 또 다른 블록체인 기반 퍼블리싱 플랫폼 ‘라이크코인’에 따르면, 현재 약 8000개의 웹사이트가 콘텐츠를 보존하기 위해 해당 플랫폼의 서비스를 사용하고 있다. 라이크코인에는 홍콩 국가보안법 통과 후 정부가 폐간한 홍콩의 대표적인 반중매체 ‘빈과일보’의 기사들도 등록돼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리우는 검열에 저항하기 위해 블록체인을 활용하는 방법이 가까운 미래에 주류가 되진 않겠지만 이에 대한 수요는 분명 증가할 것이라면서 “우리는 이를 추진하기 위한 방법을 모색하고 있다”고 말했다.

김혜리 기자 harry@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