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용·정의선·최태원·구광모..기업인 17명 민간 외교 '톡톡'

한우람 2022. 5. 22. 17:33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정상회담 기간 재계 총출동
방한 시작부터 마지막까지
국내 기업인과 면담 이어져
하림, 美델라웨어 투자 인연
김홍국 회장, 바이든과 만나
이창양 산업통상자원부 장관과 지나 러몬도 미국 상무부 장관이 지난 21일 오전 서울 용산구 그랜드하얏트 호텔에서 한미 비즈니스라운드테이블을 열었다. 이날 행사에 참석한 최태원 SK그룹 회장,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 크리스토퍼 델 코소 주한 미국대사 대리, 김동관 한화솔루션 대표,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 러몬도 장관, 이 장관, 안덕근 산업부 통상교섭본부장, 크리스티아노 아몬 퀄컴 최고경영자,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 백우석 OCI 회장, 구광모 LG그룹 회장, 카허 카젬 GM코리아 사장, 최수연 네이버 대표 등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방한한 20일부터 출국한 22일까지 사흘간 한미 동맹 강화를 위한 '민간 외교관'으로서 전면에 나선 기업인만 총 17명으로 집계됐다.

우리 기업인들은 양국 간 공급망 협력 강화 등 '경제안보대사' 역할을 하는 한편 대규모 대미 투자를 약속해 한국을 찾은 바이든 대통령에게 방한 선물 보따리도 안겨줬다. 민간이 이처럼 대미 외교에 적극 나선 만큼 추후 있을 윤석열 대통령의 방미 때 기업인 사절단이 동행해 이에 대한 '보답'을 거둘 것으로 기대된다.

22일 재계에 따르면 바이든 대통령 방한 이후 개최된 한미 양국 행사에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 최태원 SK그룹 회장 겸 대한상공회의소 회장, 정의선 현대자동차그룹 회장, 구광모 LG그룹 회장,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 손경식 한국경영자총협회 회장, 허창수 전국경제인연합회 회장, 구자열 한국무역협회 회장, 김기문 중소기업중앙회 회장, 최진식 한국중견기업연합회 회장, 백우석 OCI 회장, 김홍국 하림 회장, 류진 풍산 회장, 김동관 한화솔루션 대표, 정기선 HD현대 대표, 강한승 쿠팡 대표, 최수연 네이버 대표 등 기업인 17명이 잇달아 참석했다.

이재용 부회장은 바이든 대통령이 방한 첫날인 20일 저녁 찾은 경기도 평택 삼성전자 반도체공장에서 손수 안내자로 나선 뒤 환영사를 유창한 영어로 발표해 일반 국민들의 탄성을 자아냈다. 외부인에게 제한적으로만 공개되는 1급 보안시설인 반도체 공장을 오너가 직접 안내했다는 점에서 파격적인 민간 외교 행보로 풀이된다.

이 부회장은 다음날인 21일 오전 지나 러몬도 미국 상무부 장관과 이창양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주관한 한미 비즈니스라운드테이블에도 참석했다. 이 부회장 등 5대 그룹 총수와 김동관 대표, 백우석 회장, 최수연 대표 등 기업인 8명이 참석한 이날 라운드테이블에서는 반도체, 배터리, 전기차, 청정에너지, 디지털 등 분야에서 한미 간 공급망 구축을 위해 양국 기업이 협력하기로 했다. 김동관 대표는 "양국 경제·기술 동맹을 태양광 분야까지 확대하기를 원한다"고 발언했다.

같은 날 서울 용산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열린 한미 정상 환영 만찬에 김홍국 하림 회장(뒷줄 왼쪽 첫째)이 윤석열 대통령,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 대화를 나누는 모습. [사진 제공 = 독자]
같은 날 저녁 서울 용산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열린 환영 만찬에는 5대 그룹 총수와 김동관 대표, 정기선 대표, 김홍국 회장, 류진 회장, 강한승 대표와 국내 주요 경제단체장 등 기업인 15명이 참석했다.

한국 측 참석자 중 상당수를 기업인으로 채운 셈이다. 이날 만찬에 참석한 류 회장은 미국 주요 싱크탱크 중 하나인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 이사도 맡고 있는 등 국내 대표 '민간 외교관' 중 한 명으로 꼽힌다.

김홍국 회장은 금융위기 직후인 2011년 바이든 대통령의 정치적 고향인 델라웨어주에서 닭고기 가공업체(현 앨런하림푸드)를 인수하며 인연을 맺은 바 있다. 김 회장은 지난해 바이든 대통령 취임식에도 초청을 받았으며 코로나19 상황을 감안해 온라인으로 참석했다.

바이든 대통령 방한 마지막 날인 22일에는 정의선 회장이 직접 바이든 대통령과 면담한 뒤 로보틱스, 도심항공교통(UAM), 자율주행 소프트웨어 등에 50억달러 규모 대미 투자를 '깜짝' 발표했다.

정 회장은 바이든 방한 기간에만 총 105억달러(약 13조3000억원) 규모 대미 투자를 발표해 커다란 방한 선물을 안겨줬다.

[한우람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