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봉쇄에 데인 애플..인도 생산 두 배 늘린다

이고운 2022. 5. 22. 17:07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아이폰 등 주요 제품의 95% 이상을 중국에서 생산해온 애플이 제조기지 다변화에 나선다.

시장조사업체 카운터포인트리서치에 따르면 지난해 아이폰 아이패드 맥북 등 애플 제품의 95.3%가 중국에서 생산됐다.

애플이 중국을 대체할 만한 생산기지로 관심을 보이는 국가는 인도와 베트남이다.

WSJ는 소식통을 인용해 "애플이 중국 외 지역에서 신제품 등의 대량 생산을 위한 초기 작업을 해달라고 협력업체들에 요청했다"고 보도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제조기지 다변화 '시동'
中의존도 높은 만큼 리스크 커
2분기 매출 80억弗 줄어들 듯
"애플, 협력사에 脫중국 요구"
폭스콘, 아이폰 공장 인도에 둥지
4월 상하이 생산·소비 '반토막'

아이폰 등 주요 제품의 95% 이상을 중국에서 생산해온 애플이 제조기지 다변화에 나선다. 중국의 고강도 도시 봉쇄와 전력난의 후폭풍을 호되게 겪었기 때문이다. 중장기적으로 미·중 갈등이 격화할 가능성이 있는 것도 부담이다. ‘탈(脫)중국’에 나선 애플은 대안으로 인도와 베트남을 주목하고 있다.

 애플, 中 의존도 줄인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애플이 위탁생산 업체들에 중국 외 지역에서 제품 제조를 늘릴 것을 최근 요청했다고 21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시장조사업체 카운터포인트리서치에 따르면 지난해 아이폰 아이패드 맥북 등 애플 제품의 95.3%가 중국에서 생산됐다.

코로나19 팬데믹(세계적 대유행) 전까지만 해도 중국은 애플에 매력적인 생산기지였다. 인건비 등 생산비용이 저렴한 데다 잘 훈련된 인력이 풍부해서다. 주요 부품 공급업자 사이에 형성된 긴밀한 네트워크도 중국 외 국가에서는 찾아보기 어려운 장점으로 꼽혔다.

하지만 팬데믹 이후 애플은 중국 의존도를 줄여야 한다는 경영 판단을 내리게 된 것으로 전해졌다. 최근 중국이 코로나19 확산을 막기 위해 상하이 등 도시 봉쇄를 하면서 공급망 병목 및 생산 차질이 심화했다. 애플 본사는 중국 현지 상황을 직접 관리·감독하기도 어려워졌다.

애플은 중국 공급망 병목 등으로 2분기 매출이 최대 80억달러 감소할 수 있다는 전망을 내놨다. 정치적으로는 미국과 중국의 패권 다툼 불씨가 여전히 남아있다는 분석이다.

봉쇄 탓에 상하이 경제는 생산과 소비 모두 충격을 받았다. 22일 상하이 통계국 홈페이지에 따르면 4월 상하이의 산업생산은 1364억위안(약 26조원)으로 작년 같은 달보다 61.6%(약 42조원) 감소했다. 4월 소매판매는 717억위안(약 14조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48.3% 줄었다.

 인도와 베트남이 대안

애플이 중국을 대체할 만한 생산기지로 관심을 보이는 국가는 인도와 베트남이다. WSJ는 소식통을 인용해 “애플이 중국 외 지역에서 신제품 등의 대량 생산을 위한 초기 작업을 해달라고 협력업체들에 요청했다”고 보도했다. 애플이 핵심 생산거점을 중국이 아닌 다른 곳으로 옮기겠다는 의지로 해석된다.

애플의 탈중국 기조에 가장 큰 혜택을 볼 나라는 인도다. 카운터포인트리서치는 인도의 애플 제품 생산 비중이 지난해 3.1%에서 올해 6~7%로 확대될 것으로 전망했다. 중국만큼 인구가 많으면서 생산비용도 저렴한 나라가 인도이기 때문이다. 애플의 세계 최대 협력사인 폭스콘은 이미 인도에 아이폰 생산공장을 세웠다. 애플은 지난달 인도에서 아이폰13을 생산하기 시작했다고 발표했다.

애플과 협력업체들은 베트남도 눈여겨보고 있다. 삼성전자가 이미 베트남에서 스마트폰을 제조하고 있다는 사실에 주목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베트남은 지리적으로 중국과 가깝고, 인도처럼 중국과 대립각을 세우고 있지도 않다. 중국에 본사를 둔 애플 협력업체들은 양국의 갈등 때문에 인도에 진출하기가 쉽지 않다. 카운터포인트리서치는 베트남을 비롯한 동남아시아가 애플 제품 생산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지난해 1.1%에서 올해는 1.8%가 될 것으로 내다봤다.

애플의 탈중국 시도는 다른 글로벌 기업에도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높다. 중국 의존도를 줄이는 게 쉽지는 않을 것으로 관측된다. 궈밍치 TF인터내셔널증권 애널리스트는 “비용 등이 만만치 않기 때문에 애플 정도는 돼야 협력사에 공급망 전환을 요구할 수 있는 게 현실”이라고 말했다.

이고운 기자 ccat@hankyung.com

경제지 네이버 구독 첫 400만, 한국경제 받아보세요
한국경제신문과 WSJ, 모바일한경으로 보세요

Copyright © 한국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