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의 직업 찾자'..26세 이상 대학 신입생 10년 만에 2배 늘었다

한민선 기자 2022. 5. 22. 15:3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최근 10년간 26세 이상 일반대 입학자가 2배 증가했다.

22일 종로학원이 분석한 '고등교육기관 학교급별 입학자 연령 현황'에 따르면, 일반대 26세 이상 성인 입학자는 2021학년도 8435명으로 10년 전인 2011학년도에 비해 105.4% 증가했다.

최근 10년간 26세 이상 성인 입학자 비율이 가장 큰 폭으로 늘어난 학교는 한국폴리텍대학 등 기능대다.

시도별로 살펴보면 전남이 8.5%로 일반대 26세 이상 성인 입학자 비중이 가장 높았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전문대도 성인 입학 비중 늘어나..지방대·전문대 신입생 충원 타개책 되나


최근 10년간 26세 이상 일반대 입학자가 2배 증가했다. 대학들이 신입생 충원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가운데 평생교육 확대로 신입생을 확보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22일 종로학원이 분석한 '고등교육기관 학교급별 입학자 연령 현황'에 따르면, 일반대 26세 이상 성인 입학자는 2021학년도 8435명으로 10년 전인 2011학년도에 비해 105.4% 증가했다.

2021학년도 일반대 성인 입학자는 연령별 신입생 수 집계를 시작한 2006학년도 이후 최대치다. 전체 입학자 32만9306명 중 26세 이상 비중은 2.6%를 차지해 2011학년도 1.1%보다 1.5%p(포인트) 늘었다.

계열별로 살펴보면 일반대 사회계열 신입생이 2885명으로 전체의 34.2%를 차지했다. 이어 공학계열 1913명, 인문계열 1123명, 예체능계열 814명, 자연계열 747명, 의약계열 582명, 교육계열 371명 순이었다.

2021학년도 전문대의 26세 이상 성인 입학자는 2만4398명으로 집계됐다. 10년 전보다 약 6000명 감소했으나, 비중은 오히려 2.4%p 늘었다. 2006학년도 17%에서 2014학년도 8.5%까지 떨어졌다가, 2021학년도에는 14.6%를 차지했다.

전문대도 마찬가지로 사회계열 신입생이 9287명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간호, 치료, 보건 등 의약계열(4592명)과 기계, 전기, 컴퓨터 등 공학계열(4548명)이 뒤를 이었다.

최근 10년간 26세 이상 성인 입학자 비율이 가장 큰 폭으로 늘어난 학교는 한국폴리텍대학 등 기능대다. 7.1%에서 14.3%로 2배 가량 증가했다. 폴리텍대학은 종합기술전문학교로서 기술 교육훈련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어 새로운 직업을 찾으려는 수요가 몰리고 있다.

시도별로 살펴보면 전남이 8.5%로 일반대 26세 이상 성인 입학자 비중이 가장 높았다. 이어 경북(8.2%), 광주(6.3%), 부산(5.2%)이 뒤를 이었다. 전문대의 경우 전남 42.8%, 경북 34.2%, 강원 23%, 전북 22.9%, 부산 21.4% 순이었다.

지방대와 전문대는 최근 학령인구 감소로 신입생 충원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교육부에 따르면 2021학년도 대학 미충원 인원은 4만586명(8.6%)에 달했다. 이중 비수도권에서만 3만458명이 발생해 전체 미충원 인원의 75.0%를 차지했다. 비수도권·전문대일수록 상황은 더 심각하다.

신입생 미충원 문제를 타개하기 위해 지방대들은 '늦깎이 신입생' 확보에 열을 올리고 있다. 평생 학습자·재직자 전형 등을 마련하고, 맞춤형 커리큘럼을 제공하는 식이다. 윤석열 정부도 평생·직업교육 관련 지방대 역할이 강화돼야 한다는 기조다. 국정과제로 조기취업형 계약학과 확대, 일터·대학 순환형 대학평생교육 등을 통해 지역 밀착형 평생·직업교육을 제공하겠다는 구상을 내놨다.

이 같은 상황에서 성인 입학자는 점차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오종운 종로학원 평가이사는 "특히 2020년 이후에는 베이붐 세대의 현역 은퇴 시기와 맞물려 제2의 직업이나 평소 자신이 하고 싶은 학업을 찾는 흐름이 있다"며 "이에 발 맞춰 대학 및 전문대에서 성인 입학에 대비한 학과 및 다양한 학습 프로그램이 활발하게 이루어질 것으로 보여 성인 입학자는 더욱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김지민 "돈 때문이면 안 만났다"…♥김준호 "나보다 돈 많아"아내 카드로 명품 과시…'결혼 4년차' 아이돌, 혼인신고 못한 이유"유명 개그맨 남편, 불륜에 폭행까지…도와달라""콘돔 썼다" 성폭행범 풀어준 판사에 아르헨 '발칵', 결국…이창명 근황, 연이은 사업 실패+이혼 고백…14년 이혼 숨긴 이유는
한민선 기자 sunnyday@mt.co.kr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