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 AI에 '공감능력' 넣는다..메타버스 플랫폼도 출시

서정윤 기자 2022. 5. 22. 09:00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배순민 KT AI 2XLX 연구소장, 'AI 2.0' 비전 발표

(지디넷코리아=서정윤 기자)KT가 초거대 인공지능(AI)을 토대로 음성지능, 언어지능, 시각지능을 한 단계 발전시킨다. 그리고 이를 AI 컨택센터(AICC), 기가지니, 지니버스, 차세대 지능형 교통체계(C-ITS) 등에 적용한다. 

배순민 KT AI 2XLX 연구소장은 지난 19일 서울 서초구 KT우면연구센터에서 진행된 타운홀 기자간담회에서 이 같은 내용을 담은 'KT AI 2.0'의 연구 방향을 공유했다. 

이날 배 소장은 KT의 초거대AI를 기반으로 진화된 AI 2.0은 인간의 상호작용에서 가장 큰 특징인 공감능력을 갖춘 AI가 될 거라고 전망했다. 또한 KT의 메타버스 플랫폼인 지니버스를 조만간 공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KT AI 2.0의 기반이 될 '초거대AI' 

이날 배 소장은 연내 초거대AI를 상용화하고 이를 통해 KT의 서비스 수준을 한 단계 지화시킬 계획이라고 밝혔다. 또한 KT는 대규모 AI 연산 인프라를 구축하고, 향후 2천억 파라미터(매개변수) 이상의 모델까지 가능하도록 인프라 규모도 점진적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초거대AI란 대용량 연산이 가능한 인프라를 바탕으로 대규모 데이터를 학습해 사람처럼 사고할 수 있도록 설계된 AI를 뜻한다. KT는 진화된 AI를 구현하기 위해 AI 원팀에서 다자간 공동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배순민 KT AI 2XLX 연구소장 (사진=KT)

KT는 초거대 언어모델의 경우 즉시 상용화가 가능한 형태로 설계하고 있다. 초거대 언어모델을 통해 향상된 '음성-문자 자동 변환(STT)', '텍스트 분석(TA)' 등 요소 기술은 AICC와 기가지니 등 실제 상용화 중인 KT의 AI 서비스 고도화를 위해 사용된다. 나아가 제조·금융·물류·유통 등 다양한 사업 분야에도 적용할 예정이다. 

배 소장은 "초거대AI는 단순히 기술에서 멈추는 게 아니라 정말 사용할 수 있는 단계에 있으며 아주 적절한 시기에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기술"이라고 설명했다. 최근 미국과 중국 등 국내외에서 초거대AI를 주목하고 있다는 점도 언급하며 "많은 시도 속에서 사용자의 다양한 니즈가 충족되며 동반 성장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AI 2.0, 인간의 감성을 담겠다"

배 소장은 AI 2.0의 비전으로 감성과 공감을 꼽았다. 앞으로는 정보를 얻기 위해 AI를 사용하는 게 아니라 위로를 받는 등 삶을 풍성하게 만들기 위해 AI를 사용할 거라는 설명이다. 

배 소장은 "생활을 편리하게 만들어주는 AI 기술은 이미 어느정도 수준에 올라왔다고 생각한다"며 "이제는 그저 똑똑한 게 아니라 해야할 말과 하지 못할 말을 구분할 수 있는 따뜻하고 공감하는 AI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공감하는 AI를 구현하기 위해 KT는 데이터셋에 인문학적 고찰과 감성적인 영역을 반영하고 있다. 

KT는 앞으로 AI 서비스를 발굴할 때에도 공감하는 AI가 들어가는 서비스를 확대할 수 있을지 여부를 고려한다는 계획이다. 음성합성과 디지털 휴먼 기술에 적용하는 방안도 고려하고 있다. 

배 소장은 "음성합성에서 목소리적인 측면에서 개인 맞춤형 목소리로 말을 해준다든지, 디지털 휴먼쪽 기술에 적용하는 등의 방안을 고민 중"이라면서도 "디지털 휴먼은 대화도 중요하지만 시각적인 인터랙션도 중요하기에 고민하고 있다"고 말했다. 

'지니버스'로 메타버스 시장에 출사표

KT는 이날 메타버스 플랫폼인 지니버스의 출시 계획도 밝혔다. 지니버스는 게임이나 SNS 기반이었던 기존 메타버스 플랫폼과 다르게 KT의 홈 서비스를 기반으로 한 메타버스가 될 전망이다. 배 소장은 "지니버스는 통화비서의 다음 버전이라고 볼 수 있다"며 "조금 더 생활에 밀접한 메타버스를 제공하려고 한다"고 설명했다.

배 소장은 "KT는 공간, 동작, 대화 분야에서 뛰어난 AI 기술을 갖고 있다"며 "다양한 AI 기술을 활용해 지니버스를 만들고 있다"고 설명했다. 지니버스에는 초거대AI를 기반으로 한 NPC도 탑재될 예정이다. 

KT는 생활밀착형 메타버스를 만드는 만큼 지니버스의 타깃도 MZ세대로 설정하지 않았다. 배 소장은 "2025년 우리나라 평균 연령이 50세가 넘는다고 하고 이미 많은 지역은 50세가 넘었다"며 "MZ세대가 메타버스의 중심이라고는 하지만 시민 대부분이 MZ세대가 아닌 상황에서 시니어들이 어떻게 해야 메타버스를 쓰게 할 수 있을지에 대해 고민하는 게 중요하다고 생각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다양한 연령대의 사용자를 메타버스로 끌어들이는 데 아직까지는 기술적인 한계가 있다고 생각한다"며 "초반부터 많은 포용성을 가질 수는 없겠지만 기술로 극복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서정윤 기자(seojy@zdnet.co.kr)

Copyright © 지디넷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