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금융 연구소, '벌집군집붕괴현상, 꿀벌의 경고에 응답하라' 보고서 발간

홍성완 기자 2022. 5. 22. 09:0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KB금융지주 경영연구소는 22일 개체수가 급감하고 있는 꿀벌을 보호하기 위한 사회적 관심과 행동을 유도하기 위해 '벌집군집붕괴현상(CCD, Colony Collapse Disorder), 꿀벌의 경고에 응답하라' 보고서를 발간했다.

KB금융지주 경영연구소 관계자는 "KB금융그룹은 ESG 경영 선도기업으로서, 꿀벌 보호와 같은 사회적 이슈에 관심을 갖고 있다"며 "KB의 작은 관심과 노력이 정부, 기업, 국민들의 관심을 이끌어 낼 수 있는 선한 영향력으로 이어져 꿀벌들이 다시 날아오를 수 있기를 희망한다"고 말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KB금융그룹 경영연구소가 발간한 '벌집군집붕괴현상(CCD) 꿀벌의 경고에 응답하라' 보고서 표지 ⓒKB금융그룹

[스포츠한국 홍성완 기자] KB금융지주 경영연구소는 22일 개체수가 급감하고 있는 꿀벌을 보호하기 위한 사회적 관심과 행동을 유도하기 위해 '벌집군집붕괴현상(CCD, Colony Collapse Disorder), 꿀벌의 경고에 응답하라' 보고서를 발간했다.

이번 보고서는 ESG경영 선도 차원에서 KB금융이 꿀벌을 살리기 위해 관심과 동참이 필요한 주요 이슈를 발굴하고, 이를 국민과 함께 나누며 사회적 움직임으로 발전시키기 위해 추진하는 'K-Bee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작성됐다.

KB금융은 이번 보고서를 통해 꿀벌 실종 현상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심각한 문제점을 알리고, 꿀벌 보호가 필요한 이유와 이를 해결하기 위한 대응 과제를 제시했다.

보고서는 2022년 1분기 전국 양봉농가에서 키우고 있는 220여만 개의 벌통 중 39만여 개(17.2%)의 벌통이 피해를 입어 약 78억 마리의 꿀벌이 집단 실종된 벌집군집붕괴현상에 주목했다.

벌집군집붕괴현상(CCD, Colony Collapse Disorder)이란 벌처럼 무리를 지어 사는 군집(Colony)이 갑자기 사라지는 현상을 말하며, 명확한 원인에 대해 아직까지 명확하게 밝혀진 건 없다.

최근 전국적으로 일어난 꿀벌 실종 사태에 대해 정부 합동조사에서도 명확한 이유를 설명하지 못하고 있다. 다만 이번 꿀벌 실종 사태의 원인으로 꿀벌응애와 같은 해충, 과도한 살충제 사용, 말벌에 의한 피해, 그리고 이상기후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과학자들과 국제기구들은 생태계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 꿀벌이 사라질 경우 인류에게 큰 위협이 될 것이라고 경고하고 있다. 

2015년 하버드대 사무엘 마이어 교수팀은 꿀벌이 없어지면 식물이 열매를 맺지 못해 식량난이 발생하고 이로 인해 연간 142만명의 사람들이 사망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UN 생물다양성과학기구(IPBES)는 꿀벌의 경제적 가치를 최대 740조로 추정하기도 했다.

이 보고서는 벌집군집붕괴현상을 막기 위한 가장 근본적인 방법으로 꿀벌의 건강한 서식지를 만들어주는 것이 중요하며, 이를 위해 밀원식물을 심고 밀원숲을 조성하는데 정부와 기업의 노력이 필요함을 강조했다.

밀원식물이란 꿀벌이 꽃꿀, 꽃가루와 수액의 수집을 위해 찾아가는 식물을 뜻한다. 밀원식물로 조성돼 꿀벌이 살기 적합한 서식지를 밀원숲이라고 한다. 대표적인 밀원식물로는 옥수수, 유채, 해바라기, 밤나무, 헛개나무, 백합나무 등이 있다.

보고서는 또 꿀벌 서식지 조성을 위한 방법으로 기업들의 도시양봉 참여를 제시하며, 이러한 노력들이 일회성에 그치지 않고 지속돼 실질적인 변화로 이어질 수 있도록 실천방안을 제안했다.

KB금융지주 경영연구소 관계자는 "KB금융그룹은 ESG 경영 선도기업으로서, 꿀벌 보호와 같은 사회적 이슈에 관심을 갖고 있다"며 "KB의 작은 관심과 노력이 정부, 기업, 국민들의 관심을 이끌어 낼 수 있는 선한 영향력으로 이어져 꿀벌들이 다시 날아오를 수 있기를 희망한다"고 말했다.

한편, KB금융은 최근 꿀벌 생태계 회복에 앞장서기 위한 'K-Bee 프로젝트' 추진을 발표했다. 향후 4년간 강원도와 경북 일대에 밀원수 10만 그루를 심고 KB국민은행 영업점을 통한 밀원식물 키트 1만여개를 배포해 국민 참여 확산을 도모한다. 

또한 국민은행 본점 옥상에는 도시 양봉장을 조성하고, 서울식물원 내 'Bee 호텔'을 설치해 벌의 생태와 환경문제에 대한 체험 교육도 실시할 예정이다.

 

스포츠한국 홍성완 기자 seongwan6262@gmail.com

Copyright © 스포츠한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