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정상 공식 만찬 메뉴는 팔도 산채 비빔밥과 미국산 소갈비

김유진 기자 2022. 5. 21. 14:3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윤석열 대통령과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의 21일 저녁 공식 만찬 테이블에 양양의 참송이 버섯 등 우리나라 각지의 대표 특산물로 만든 요리가 올랐다.

이날 대변인실에 따르면 이번 한·미 정상 공식 만찬 식전 먹거리로 자색 고구마와 단호박 등을 이용해 만든 전병이 제공된다.

이천 쌀과 화이트 초콜렛을 이용해 만든 쌀 케이크, 미국산 견과류와 오렌지 젤리, 국내산 산딸기와 배 등 한·미 식재료가 조화를 이룬 음식들이 후식으로 제공된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사진 왼쪽부터 자색 고구마 등으로 만든 전병, 해남 배추를 이용한 숭채만두, 팔도 산채 비빔밥과 두부 완자탕.

만찬주로 한인 소유 美나파밸리 와인 ‘바소’

윤석열 대통령과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의 21일 저녁 공식 만찬 테이블에 양양의 참송이 버섯 등 우리나라 각지의 대표 특산물로 만든 요리가 올랐다.

이날 대변인실에 따르면 이번 한·미 정상 공식 만찬 식전 먹거리로 자색 고구마와 단호박 등을 이용해 만든 전병이 제공된다. 이어 흑임자 두부선

이색밀쌈·오이선 등으로 만든 향토진미 5품 냉채와 강원 양양 참송이 버섯죽 및 침채, 해남 배추를 이용한 숭채만두, 산채 비빔밥과 두부 완자탕 등이 준비된다. 대변인실은 “특히 전국 팔도에서 나는 제철 나물을 고추장 소스에 비벼 먹는 산채비빔밥은 색과 맛뿐만 아니라 계절과 지역, 자연과 인간의 조화를 의미한다”고 설명했다.

비빔밥과 함께 곁들일 요리로는 미국산 소갈비를 간장 양념에 숙성시킨 소갈비 양념구이를 선보인다. 이천 쌀과 화이트 초콜렛을 이용해 만든 쌀 케이크, 미국산 견과류와 오렌지 젤리, 국내산 산딸기와 배 등 한·미 식재료가 조화를 이룬 음식들이 후식으로 제공된다. 대변인실은 또 “바이든 대통령이 장거리 여행으로 인한 피로를 회복할 수 있도록 매실차도 준비했다”고 밝혔다.

이날 공식 만찬주로는 미국 캘리포니아 나파밸리의 한국인 소유 와이너리 ‘다나 에스테이트’에서 생산된 레드와인 ‘바소’가 오른다. 건배주로는 2012년 핵 안보 정상회의 등에서 만찬주로 쓰인 국산 스파클링 와인 ‘오미로제 결’이, 화이트와인으로는 나파밸리산 ‘샤또 몬텔레나 나파밸리 샤도네이’가 각각 선정됐다.

김유진 기자 klug@munhwa.com

[ 문화닷컴 | 네이버 뉴스 채널 구독 | 모바일 웹 | 슬기로운 문화생활 ]

[Copyrightⓒmunhwa.com '대한민국 오후를 여는 유일석간 문화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구독신청:02)3701-5555 / 모바일 웹:m.munhwa.com)]

Copyright © 문화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