넘쳐나는 수도권 쓰레기..'매립지 전쟁' 재점화
[앵커]
6·1지방선거를 앞두고 수도권 매립지 문제가 또 한 번 쟁점으로 부상하고 있습니다.
특히 서울과 경기도의 매립지 사용 시한은 이제 몇 년 남지 않은 상황으로, 새로운 매립지 확보는 더는 미룰 수 없는 '발등의 불'이 됐습니다.
이준삼 기자입니다.
[기자]
수도권 쓰레기 처리를 둘러싼 지자체 간 신경전은 올해도 예외가 아닙니다.
벌써부터 폐기물 반입량을 위반한 지자체가 속출하면서, 수도권 매립지가 있는 인천이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습니다.
경기도 화성시와 서울 강서구가 1년 치 생활폐기물 할당량을 초과했고 양평군·용인시, 강남구 등의 할당량도 80%를 넘겼습니다.
반입총량제 위반은 제도 시행 첫해인 2020년부터 매년 반복되고 있고, 관계기관은 규제 강화를 고심하고 있습니다.
특히 지난 30년간 수도권 쓰레기를 반입받아 처리해온 인천은 2025년 매립지 사용 종료를 예고한 상태입니다.
인천은 영흥도에 자체 매립지를 조성할 예정이지만, 서울과 경기도는 부지 확보에 난항을 겪고 있습니다.
갈등의 불씨는 선거를 앞두고 또 한 번 되살아나고 있습니다.
<박남춘 / 더불어민주당 인천시장 후보(KBS 라디오 '최경영의 최강시사')> "대체 매립지는 경기북부 포천이라고 지금 제가 알고 있거든요. 서울, 경기는 그쪽에 가서 친환경 (소각재만 묻으면 된다)"
<김은혜 / 국민의힘 경기지사 후보(NGN뉴스)> "환경부, 경기도청, 포천시도 모르는 '포천 대체 매립지'를 도대체 누구와 협의했는지 밝혀주십시오."
매립지 문제는 수도권만의 현안이 아닙니다.
환경당국은 전국 200곳이 넘은 공공매립지 중 절반 이상이 2030년쯤 포화 상태에 이를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쓰레기 발생량을 줄이기 위한 정책적 지원을 더욱 다각화하고, 속도를 끌어올려야한다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입니다.
연합뉴스TV 이준삼입니다.
#쓰레기 #매립지 #공공매립지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네이버에서 연합뉴스TV를 구독하세요
연합뉴스TV 생방송 만나보기
균형있는 뉴스, 연합뉴스TV 앱 다운받기
Copyright © 연합뉴스TV.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실수'로 낸 산불이 대형 참사로…실화자 처벌은 어떻게?
- "내가 비상문 열면 다 죽어"…승무원 폭행한 미국인, 처벌은?
- 열흘 만에 돌아온 이정후, 마이너 팀 상대 2루타 '쾅'
- 해남 달마산서 덫에 걸린 멸종위기 야생동물 '담비' 구조
- '세계 1위' 안세영, 아시아선수권 불참…허벅지 부상 여파
- '왕의 공간' 창덕궁 희정당 다음 달 2~5일 야간 공개
- 게임업계 '연봉킹'은 장현국 넥써스 대표…107억원 수령
- 시몬스 지난해 매출액 3,295억원 '역대 최대'…업계 1위 지켜
- 방사청장, 인도네시아 국방차관 면담…"KF-21 협력 지속"
- "온라인서 가입한 멤버십, 탈퇴는 매장에서?"…공정위, 코스트코 제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