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회용품 금지는 유예됐는데..지자체마다 생활폐기물 수천톤 증가 '골머리'

신재훈 2022. 5. 21. 11:34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코로나19가 장기화되면서 강원도내 생활폐기물이 크게 늘어 강원도내 지자체가 처리 방법을 두고 골머리를 앓고 있다.

21일 본지 취재 결과 도내 대부분의 지자체는 코로나19 전후로 생활폐기물이 증가했다.

코로나 발생 이전인 2019년 원주 생활폐기물 발생량이 4만4525t이었던 점과 비교하면 19.4%(8644t)이나 증가한 셈이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 5일 춘천 환경사업소에 추석연휴 버려진 재활용 쓰레기들이 쌓여있다. 강원도민일보 자료사진

코로나19가 장기화되면서 강원도내 생활폐기물이 크게 늘어 강원도내 지자체가 처리 방법을 두고 골머리를 앓고 있다.

21일 본지 취재 결과 도내 대부분의 지자체는 코로나19 전후로 생활폐기물이 증가했다. 지난해 원주지역 종량제봉투와 가로수 청소용 봉투에 담긴 생활폐기물은 5만3169t이다. 2020년 5만849t에 비해 4.5%(2320t) 증가했다. 코로나 발생 이전인 2019년 원주 생활폐기물 발생량이 4만4525t이었던 점과 비교하면 19.4%(8644t)이나 증가한 셈이다.

춘천 역시 소각과 매립, 음식물, 재활용 쓰레기를 합친 생활폐기물은 지난해 8만8866t으로 지난 2020년 8만9784에 비해선 약 1%(918t) 감소했지만 2019년 8만5024t에 비해 약 4.5%(3842t) 증가했다. 화천지역도 지난 2019년 1만1458t에서 지난해 1만2539으로 9.4%(1081t) 늘었다.

문제는 생활폐기물을 처리할 방법이 마땅치 않다는 점이다. 매립장 규모는 정해져 있고 추가로 매립장 개설을 추진하자니 주민들이 반발하고 있기 때문이다. 여기에 지난해 폐기물관리법이 개정, 오는 2030년부터 생활폐기물 직매립이 불가능해지면서 각 지자체는 소각시설 마련 등 대책 마련을 서두르고 있다.
 

▲  강원 춘천의 한 카페에 1회용컵 제공에 대한 안내표지판이 설치돼 있다. 김정호

원주의 경우 흥업면에 위치한 폐기물종합처리단지에서 종량제봉투에 담긴 가연성 폐기물을 고형연료로 만들어 폐기물을 처리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고형연료가 신재생에너지에서 제외되면서 수요는 줄고 있다. 급한대로 원주는 2029년까지 소각시설 설치에 나섰다. 폐기물관리법 개정을 1년 앞두고 완공하겠다는 계획이다. 원주시 관계자는 “소각시설 설치에 행정절차를 포함해 약 8년 정도 걸리기 때문에 우선 생활폐기물의 직 매립이 불가한 2030년 전까지 설치하는 것이 목표”라고 말했다. 현재 원주시는 사업비와 처리용량을 결정하고 있으며 이후 주민 반대가 적은 부지를 공모해 행정절차에 나설 방침이다.

춘천 역시 코로나19로 배달음식 이용과 일회용품 사용이 늘면서 당초 2024년까지 쓸 수 있다고 봤던 혈동리 환경공원의 사용연한이 2030년으로 10년 당겨졌다. 춘천시는 매립장 포화를 막기 위해 2025년까지 소각시설을 증축하기로 하고 관련 행정절차를 진행하고 있다. 또 2024년부터는 매립된 쓰레기들을 다시 선별해 가연성 폐기물을 소각, 매립장 사용연한을 늘리겠다는 계획이다. 춘천시 관계자는 “인구 증가와 더불어 코로나19 영향으로 인해 직·간접적으로 매립기간이 짧아진 것은 사실”이라며 “문제가 없도록 소각장 증축을 주민들과 지속적 협의를 통해 진행 하겠다”고 말했다. 

Copyright © 강원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