엄마와 아이의 추억은 다르게 적힌다

김현주 2022. 5. 21. 08:43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참 좋은 시절이었다고 누군가 회고한다면 그 말을 곧이곧대로 모든 것들이 좋았다는 말로 이해하지 않을 만큼 어느새 나이 들었다.

아니 좀 더 어렸다 해도 그 말에 밝음과 어두움 어느 한 편으로 치우칠 수 없는 연륜이 깃들어 있다는 것쯤은 수긍할 수 있을 테다.

뜨거운 한낮 분수대 물줄기는 그 집 아이뿐만 아니라 동네 아이들에게도 인기가 높았을 것이다.

돈의 유무 이전에 자잘한 걱정 없이 그 시절을 만끽하는 것만으로도 아이는 충분히 부자가 된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시선의 자리] 어느 때 보다 쉽고 빠르게 이미지를 다루는 시대. 흔들리지 않고 천천히 보려는 마음에서 '시선의 자리'는 출발합니다.
<가담장> 연작은 어머니와 작가의 시선 차이를 곱씹는다. ⓒ서수인 작가 제공

참 좋은 시절이었다고 누군가 회고한다면 그 말을 곧이곧대로 모든 것들이 좋았다는 말로 이해하지 않을 만큼 어느새 나이 들었다. 아니 좀 더 어렸다 해도 그 말에 밝음과 어두움 어느 한 편으로 치우칠 수 없는 연륜이 깃들어 있다는 것쯤은 수긍할 수 있을 테다. 그런데 한 사람이 쌓은 시간의 켜에 대한 기억이 아니라 같은 시절 같은 공간에서의 기억이 종종 다를 때도 있다. 넓게는 학교·직장, 작게는 여행·모임에 대해 그럴 수 있다. 가족이 공유하는 기억도 그 예가 된다.

그림 한 장을 보자. 디지털 숫자로 추정컨대 1997년 4월30일자의 사진을 바탕으로 한 그림으로 보인다. 가담장이라는 간판 왼쪽에 온천 기호가 있어서 가담장은 숙박 시설인 듯하다. 이 간판 앞에서 하얀 윗도리에 파란 바지를 입은 소녀가 바위 위에서 포즈를 취하고 있다. 아이는 노란 슬리퍼를 신고 발목에 레이스가 잡힌 양말을 신었다. 이 그림을 포함하여 1997년으로부터 20여 년이 지나 유년 시절을 다시 더듬는 그림이 서수인의 〈가담장〉 연작이다. 여름 한철 피서객들이 머물고 갔던 가담장에 대한 기억. 서수인과 어머니 사이에 큰 차이가 있다.

아이는 그 시절을 부자로 기억한다. 마당에는 인공 연못과 분수가 있고 넓은 방과 복도가 즐비했다. 분수대에서 물이 피어오를 때마다 물 위로 햇빛이 반짝였다고, 아이는 그때를 회상한다. 여름 더위도 한창 뛰노는 아이에겐 대수롭지 않았을 것이다. 뜨거운 한낮 분수대 물줄기는 그 집 아이뿐만 아니라 동네 아이들에게도 인기가 높았을 것이다. 성장하는 건 아이만이 아니다. 어머니는 매일 풀을 맸다. 도시 사람들이 미처 헤아릴 수 없는 것이 잡풀의 성장이라고 한다. 풀을 매고, 쏟아지는 수건과 침구를 빨아 널고, 방과 복도를 쓸고 닦고…. 아이가 자랄 때 어머니는 매일같이 맴도는 일에 전력을 다했다. 이 매일이 그 매일 같은 나날이 생계를 책임지는 삶이다.

〈가담장〉 연작은 어머니와 작가가 다시 찾아간 그때 그곳에 대한 시선 차이를 곱씹는다. 일차적으로 기억의 다름에 놀랐다면 이윽고 그 다름을 선사한 어머니, 즉 어른의 표 나지 않는 매일을 이제 깨닫게 된다. 아이에게 그 시절을 부자로 기억하게 만든 것은 아이 눈에 띄지 않는 어른의 노고다. 흔히 부자는 돈 많은 이들을 칭하지만 아이에게 부자의 의미는 남다르다. 돈의 유무 이전에 자잘한 걱정 없이 그 시절을 만끽하는 것만으로도 아이는 충분히 부자가 된다.

‘마음만은 부자’ 같은 말은 접어둔다. 작가의 시선도 20여 년 전을 낭만화하지 않는다. 레이스 양말을 고집했을지 모를 아이를 양육한 가족의 기억. 참 좋은 시절이었다는 생의 소회로 성급히 봉합할 수 없다. 다만 그때 그 아이가 이제 그 시절 어머니만큼 어른이 되어 시선의 차이에 대해, 그 시절 미처 보이지 않던 것들에 대해 되묻는다. 아이와 어른의 시점이 포개어질 때 아이도 어른이 된다. 시선의 차이는 관점에 따라 생기는데, 관점은 서 있는 공간뿐만이 아니라 시간에 의해서도 차이가 발생한다.

김현주 (독립 큐레이터) editor@sisain.co.kr

▶읽기근육을 키우는 가장 좋은 습관 [시사IN 구독]
▶좋은 뉴스는 독자가 만듭니다 [시사IN 후원]
©시사I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시사I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