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 기자가 추적한 '엄마의 두뇌' 작동 원리

김미리 기자 2022. 5. 21. 03:01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한문화

엄마라는 이상한 이름

멜리사 호겐붐 지음 | 허성심 옮김 | 한문화 | 312쪽 | 1만6000원

‘엄마’라는 인생 타이틀이 생겼을 때 여성의 소우주엔 빅뱅이 일어난다. 정신의학자들이 ‘어머니기(matrescence)’라고 명명할 만큼 심각한 정체성 혼란을 겪는 시기다. 소설가 레이철 커스크는 “원래의 나와 엄마로서의 나를 납땜질한 상태”라고 비유했다.

저자는 두 아이를 둔 BBC 과학 기자. 경험담을 기반으로 ‘좋은 엄마 증후군’에 반기를 든다. 생물학·심리학·사회학적 분석이 뒷받침돼 공감을 불러일으킨다.

출산 후 뇌의 회백질 감소 때문에 기억력 감퇴, 이른바 ‘마미 브레인(엄마의 뇌)’ 증상이 생긴다. 대신 엄마의 뇌는 아기 마음을 이해하는 쪽으로 발달한다. 저자는 양육에 참여하는 시간이 많을수록 아빠의 뇌 구조도 바뀐다는 연구 결과를 보여준다. 육아 분담 필요성에 과학적으로 접근한 것이다. 소셜미디어에 육아 사진을 공유하는 ‘셰어런팅(’share’와 ‘parenting’을 합친 신조어)’을 꼬집으며, ‘좋아요’에 집착하는 엄마일수록 우울증 확률이 높다는 분석도 보여준다.

기자 정신과 모성이 결합했다. 펀치가 강력하다.

Copyright © 조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