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의 현재 모습은 언제부터?..기록물로 보는 청와대

황정환 2022. 5. 20. 21:50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KBS 대전] [앵커]

청와대 전면 개방을 계기로 청와대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는데요.

청와대는 언제부터 현재의 모습을 갖췄을까요?

청와대에 가보지 않아도 청와대의 변천 과정과 내부 공간을 볼 수 있는 전시회가 세종시 대통령기록관에서 열리고 있습니다.

황정환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1991년에 있었던 청와대 신 본관 준공식입니다.

오랜 기간 낡은 건물을 증·개축해 사용하다 노태우 전 대통령 지시로 본관을 신축해 현재의 모습을 갖췄습니다.

74년 동안 대통령 집무실로 사용됐지만, 현재의 모습은 의외로 오래되지 않았습니다.

[노태우 전 대통령/지난 1991년 : "우리가 지은 청와대 새 본관을 준공하게 된 것을 국민 여러분과 함께 참으로 뜻깊게 생각합니다."]

일제강점기 조선 총독 관저로 지어진 청와대는 미 군정 사령관 관저로 사용되다 대한민국 정부수립 뒤 이승만 전 대통령이 대통령 관저로 썼습니다.

처음에는 경복궁 뒤 넓은 터의 이름인 '경무대'로 불렸지만, 이승만 전 대통령 하야 이후 윤보선 전 대통령이 건물의 푸른 기와에서 따온 청와대로 변경했습니다.

청와대는 본관의 중심인 집무실 외에도 소규모 회담 장소로 사용된 인왕실과 백악실, 영부인의 접견과 집무 공간인 무궁화실, 공식 행사장인 영빈관 등 다양한 공간을 갖추고 있습니다.

전시회에서는 청와대 신 본관 공사 관련 서류와 구 본관 철거 모습 등의 기록물도 전시되고 있습니다.

[유숙현/대통령기록관 학예연구사 : "청와대가 그동안 생소한 공간이었는데, 이번 전시를 통해서 청와대의 변천사도 알 수 있고 경내 건축에 대해서도 알 수 있어서 친숙한 공간으로 바뀌길 바라는 마음으로..."]

기록으로 보는 청와대 전시회는 대통령기록관과 기록관 홈페이지에서 동시에 진행됩니다.

KBS 뉴스 황정환입니다.

촬영기자:신유상

황정환 기자 (baram@kbs.co.kr)

Copyright © KB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