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초 손잡고 첫인사 나눈 두 정상..22분 라인 돌며 '반도체 공부'

김인엽,박신영 2022. 5. 20. 21:32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윤석열 대통령과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의 첫 만남은 22초간의 악수로 시작됐다.

바이든 대통령이 이동하는 동안 윤 대통령은 평택캠퍼스에 먼저 도착해 사무2동에서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을 만났다.

바이든 대통령은 P3 라인에서 반도체 생산 공정에 대한 삼성전자 측의 설명을 주의 깊게 들었다.

단상에 함께 선 윤 대통령과 바이든 대통령이 5분씩 연설하며 양국 간 반도체 협력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美 대통령 방한 첫날 스케치
삼성전자 평택캠퍼스서 첫 대면
바이든, 尹과 인사말 나누고
팔 툭툭 치며 친근한 모습 보여
尹은 고개 끄덕이며 화답
바이든, 공동 기자회견 때
"고맙습니다 文대통령" 실수도
윤석열 대통령과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20일 경기 평택 삼성전자 반도체 공장을 시찰하던 중 양손 엄지 손가락을 들어보이고 있다. /뉴스1


윤석열 대통령과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의 첫 만남은 22초간의 악수로 시작됐다. 삼성전자 경기 평택캠퍼스에서 20일 만난 두 정상은 22초간 손을 놓지 않고 인사를 나눴다. 바이든 대통령은 윤 대통령의 팔을 툭툭 두드리며 첫 만남에도 친근한 모습을 보였다. 윤 대통령도 고개를 끄덕이며 화답했다.

 尹-JY, 바이든 도착 전 회동

바이든 대통령은 이날 오후 5시22분 한국에 도착했다. 미국 대통령 전용기인 에어포스원에서 내려온 바이든 대통령은 쓰고 있던 검은색 선글라스와 마스크를 벗고 영접나온 박진 외교부 장관과 인사를 나눴다. 바이든 대통령은 미군 장성들을 격려한 뒤 대통령 경호차량인 ‘비스트’를 타고 평택캠퍼스로 향했다.

바이든 대통령이 이동하는 동안 윤 대통령은 평택캠퍼스에 먼저 도착해 사무2동에서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을 만났다. 사무2동 로비에는 삼성전자의 반도체 시제품들이 전시됐다. ‘윤석열 대통령님 삼성전자 방문을 환영합니다’라는 문구가 떠 있는 전자식 안내판이 윤 대통령을 환영했다.

 바이든 ‘팔 툭툭’에 윤 ‘끄덕끄덕’

윤 대통령과 바이든 대통령의 대면은 오후 6시12분에 이뤄졌다. 먼저 건물에서 기다리고 있던 윤 대통령이 입구로 걸어 들어오는 바이든 대통령에게 다가가 22초간 악수하면서 짧게 인사말을 나눴다.

두 대통령은 기념촬영 뒤에도 환담을 이어갔다. 이후 두 대통령은 방명록 대신 양국의 반도체 협력을 상징하는 ‘300㎜ 웨이퍼’에 함께 서명하며 양국 간 반도체 기술 동맹의 의지를 새겼다.

두 대통령은 본격적인 공장 시찰에 앞서 삼성전자의 반도체 시제품에 대한 설명을 들었다. 서병훈 삼성전자 부사장이 설명하던 중 뒤에서 듣고 있던 이 부회장이 관련 내용을 추가로 말하는 모습도 보였다.

윤 대통령의 통역은 김일범 대통령실 의전비서관이, 바이든 대통령의 통역은 이연향 미국 국무부 통역국장이 맡았다. 이 통역국장은 도널드 트럼프, 버락 오바마, 조지 W 부시 전 대통령을 수행한 베테랑 통역사로 알려진 인물이다.

 세계 최대 반도체 라인 견학

이후 양국 정상은 차량에 탑승해 평택캠퍼스 내 평택1(P1) 라인으로 향했다. 두 대통령은 P1 라인의 투명 유리 너머로 메모리 반도체 생산 현장을 둘러봤다. 두 대통령의 발길은 생산공정이 본격적으로 설치되고 있는 P3 라인으로 이어졌다. P3 라인은 올해 하반기 완공 예정이다. 반도체 양산 시점은 이르면 올해 말 혹은 내년 초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P1과 P2는 완공 당시 단일 기준으로 각각 세계 최대 규모였으나, 하반기 완공되면 P3가 세계 최대 규모 기록을 경신할 것으로 보인다.

바이든 대통령은 P3 라인에서 반도체 생산 공정에 대한 삼성전자 측의 설명을 주의 깊게 들었다. 한 반도체 제조 장비 앞에서는 5분가량 움직이지 않고 설명에 귀를 기울였다. P3 라인 시찰은 오후 6시56분부터 22분간 진행됐다.

 양국서 연설 지켜본 삼성 직원들

두 대통령은 오후 7시40분께 공동 기자회견을 위해 반도체캠퍼스 사무2동으로 돌아왔다. 기자회견은 이 부회장의 짧은 인사말로 시작됐다. 단상에 함께 선 윤 대통령과 바이든 대통령이 5분씩 연설하며 양국 간 반도체 협력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바이든 대통령은 연설 중 “고맙습니다 문, 윤 대통령”이라고 말하며 윤 대통령을 문재인 전 대통령으로 부르는 실수를 하기도 했다.

단상 뒤에는 방진복, 사무복 등 다양한 복장의 미국 국적 삼성전자 직원 30여 명이 앉아 기자회견을 지켜봤고, 단상 위에 설치된 디스플레이를 통해 미국에서 근무하는 삼성전자 한국인 직원들의 모습이 중계됐다. 윤 대통령과 바이든 대통령은 연설이 끝난 뒤 디스플레이를 쳐다보며 직원들에게 손을 흔들었다.

평택=김인엽/박신영 기자 inside@hankyung.com

경제지 네이버 구독 첫 400만, 한국경제 받아보세요
한국경제신문과 WSJ, 모바일한경으로 보세요

Copyright © 한국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