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 대통령, 바이든 대통령과 삼성 반도체 찾아 "경제안보 동맹으로 거듭나길"

유정인·심진용 기자 2022. 5. 20. 19:56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경향신문]

윤석열 대통령이 20일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 함께 경기 평택 삼성전자 반도체 공장을 방문해 생산 시설을 둘러본 후 연설을 하고 있다. 대통령실사진기자단

윤석열 대통령은 20일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방한 첫 일정으로 함께 삼성 반도체 공장을 찾아 “오늘 방문을 계기로 한·미 관계가 첨단기술과 공급망 협력에 기반한 경제 안보 동맹으로 거듭나기를 희망한다”고 말했다.

윤 대통령은 이날 오후 바이든 대통령과 경기 평택에 있는 삼성 반도체 평택 캠퍼스를 둘러본 뒤 연설에서 “바이든 대통령께서 방한의 첫 일정으로 세계 최대 규모의 삼성 반도체 평택 캠퍼스를 방문하신 것을 매우 뜻깊게 생각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바이든 대통령은 이날부터 2박3일 일정으로 방한했다. 오산 공항에 도착한 뒤 이날 첫 일정으로 삼성 반도체 공장을 찾았다.

윤 대통령은 “오늘 바이든 대통령의 평택 캠퍼스 방문은 반도체가 갖는 경제·안보적 의미는 물론, 반도체를 통한 한·미 ‘글로벌 포괄적 전략동맹’의 의미를 되새길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윤 대통령은 “한·미 동맹의 오랜 역사처럼 한·미 반도체 협력의 역사 또한 매우 깊다”면서 1974년 한미 합작으로 설립된 ‘한국반도체’부터 최근의 반도체 업계 협력을 짚었다. 이어 “한·미 정부 간 반도체 협력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면서 “작년 말 출범한 ‘한·미 반도체 파트너십 대화’를 통해 반도체 공급망 협력은 물론, 투자·인력·기술 협력사업도 진행되고 있다”고 했다.

윤 대통령은 “저는 반도체가 우리 미래를 책임질 국가안보 자산이라 생각하며 과감한 인센티브와 필요한 지원을 아끼지 않을 계획”이라면서 “바이든 대통령께서도 우리 반도체 기업들의 미국 투자에 대한 각종 인센티브를 제공할 뿐 아니라 미국의 첨단 소재·장비·설계 기업들의 한국 투자에도 큰 관심 가져주시길 부탁드린다”고 했다.

아래는 윤 대통령 연설 전문.

<윤석열 대통령 삼성 반도체 평택 캠퍼스 연설>

바이든 대통령님,

그리고 내외 귀빈 여러분!

오늘 바이든 대통령께서

방한의 첫 일정으로 세계 최대 규모의

삼성 반도체 평택 캠퍼스를 방문하신 것을

매우 뜻깊게 생각합니다.

바이든 대통령께서는 취임하신 이래,

글로벌 공급망의 핵심으로

반도체의 중요성을 강조해왔습니다.

반도체법(Chips Act)의 의회 통과를 위해

많은 노력을 쏟고 계신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아울러 공급망 정상회의를 직접 주재하시고,

글로벌 공급망 안정을 위한 국제협력을

이끌고 계십니다.

오늘 바이든 대통령의 평택 캠퍼스 방문은

반도체가 갖는 경제·안보적 의미는 물론,

반도체를 통한 한·미 ‘글로벌 포괄적 전략동맹’의 의미를

되새길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것입니다.

반도체는 자율주행차, AI, 로봇 등

모든 첨단 산업의 필수부품이자

미래 기술경쟁력을 좌우하는 핵심 요소입니다.

대한민국은 전 세계 메모리 반도체의

70%를 공급하면서 반도체 글로벌 공급망의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한·미 동맹의 오랜 역사처럼

한·미 반도체 협력의 역사 또한 매우 깊습니다.

이 땅의 첫 반도체 기업으로

한미 합작의 ‘한국반도체’가

1974년에 설립되었습니다.

미국 마이크론사와의 기술제휴를 통해

세계 세 번째로 64KD램을 개발한 이래

미국 오스틴시에 이어서 테일러시에

첨단 파운드리 공장을 설립하기에 이르렀습니다.

램리서치, 듀폰 등

미국의 반도체 소재·장비 업체들도

한국 투자를 통해

한국 반도체 업체와의 협업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동시에 한미 정부 간 반도체 협력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습니다.

작년 말 출범한

‘한·미 반도체 파트너십 대화’를 통해

반도체 공급망 협력은 물론,

투자·인력·기술 협력사업도

진행되고 있습니다.

저는 반도체가 우리 미래를 책임질

국가안보 자산이라고 생각하면서

과감한 인센티브와 필요한 지원을

아끼지 않을 계획입니다.

바이든 대통령께서도

우리 반도체 기업들의 미국 투자에 대한

각종 인센티브**를 제공할 뿐** 아니라

미국의 첨단 소재·장비·설계 기업들의

한국 투자에도 큰 관심을 가져주시길

부탁드립니다.

바이든 대통령께서

한국 반도체의 심장인

평택 캠퍼스에 방문해 주셔서

다시 한번 깊이 감사드립니다.

오늘 방문을 계기로 한·미 관계가

첨단기술과 공급망 협력에 기반한

경제 안보 동맹으로

거듭나기를 희망합니다.

감사합니다.

유정인·심진용 기자 jeongin@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