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겹살 된 삼겹살..물가안정 총력전 나선 정부

이한나 기자 2022. 5. 20. 18:09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앵커] 

민생 이야기 이어갑니다. 

연일 물가가 가파르게 뛰고 있죠. 

밀가루와 식용유값에 이어 서민들이 즐겨 먹는 삼겹살까지 가격이 치솟고 있는데요. 

정부가 물가 전담반을 꾸려 체감 물가 관리에 고삐를 죄기로 했습니다. 

이한나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국내산 돼지 삼겹살은 100g 당 4천 원 대. 한 근인 600g을 사면 2만 원을 훌쩍 넘습니다. 

최근 돼지고기 가격은 지난해 이맘때와 비교하면 20%가 넘게 올랐습니다. 

국제곡물가격이 치솟으면서 사료값 급등에 돼지 사육비가 오른 게 이유입니다. 

삼겹살을 찾는 사람들이 많아진 것도 원인입니다. 

[한돈자조금관리위원회 관계자 : 최근 삼겹살 가격상승의 주원인은 코로나19 사회적 거리두기의 해제로 돼지고기에 대한 외식 수요가 단기간에 일시적으로 급증한 것으로 분석됩니다.] 

4월 생산자 물가지수는 넉 달 연속으로 올랐는데, 1년 전과 비교하면 9% 넘게 상승했습니다. 

주로 돼지고기, 멸치, 식용유, 경유 등이 많이 올랐습니다. 

생산자물가는 시차를 두고 소비자물가에 반영되기 때문에 물가 상승은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보입니다. 

정부는 물가 안정을 위해 범부처 전담반을 꾸려, 식용유와 석유류 등 국민 체감 분야 물가를 밀착 관리하기로 했습니다. 

[방기선 / 기획재정부 1차관 : 국민 관심도가 높은 식용유, 계란, 돼지고기, 석유류 등에 대해서는 가격과 수급 동향을 밀착해서 점검하고 필요시 적기 대응하도록 하겠습니다.] 

국책연구기관인 한국개발연구원은 우크라이나 전쟁, 공급망 충격 등으로 올해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4.2%에 달할 것으로 전망 한 바 있습니다. 

SBS Biz 이한나입니다.

네이버에서 SBS Biz 뉴스 구독하기!

평소 궁금했던 브랜드의 탄생 이야기! [머니랩]

저작권자 SBS미디어넷 & SBS I&M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SBS Biz.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